세계일보

검색

강성춘 나가사키 민단 단장 “원폭자료관 가해 역사 전시 내년에 없애려 해 보존 요구” [광복 80주년]

입력 : 2025-08-13 19:00:00 수정 : 2025-08-13 17:40:31
나가사키=유태영 특파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원폭 자료관이 내년에 리뉴얼을 하면서 일본의 가해 역사 전시를 없앤다는 얘기가 있어요. 나가사키시 측에 전시를 보존해 달라는 요청서를 보내려고 합니다.”

강성춘(사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나가사키현본부 단장은 지난 8일 나가사키 시내 사무실에서 세계일보와 만나 “자료관은 처음 열 때 가해 역사를 통해 피해를 본 사실을 잘 전시해 세계적인 평가를 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군함도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 ‘전체 역사를 명기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고 있고, 나가사키시 역시 관광에 도움이 안 되는 이미지는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것 같다”며 “최근에도 한국 정부가 문제 제기를 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는데, 앞으로도 계속 목소리를 내 주길 교포 사회는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 단장은 일본 내무성 자료를 보여주며 “8800명이던 나가사키현 한반도 출신 인구가 1939년 징용령 시작 후 6년간 6만명가량 늘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그러나 군함도 등을 근대 산업유산으로 미화하면서 강제동원 사실은 감추는 데 급급하다. 강 단장은 “예전에 군함도 안내인이 ‘한국인이 일하고 있었다’고 말했다가 우익 세력 공격을 받은 뒤 일절 그런 설명이 사라졌다”며 “군함도 관련 시설(산업유산정보센터)을 나가사키가 아닌 도쿄에 만들고, 10살이 되기 전 어린 시절을 군함도에서 보낸 사람의 증언을 한반도 출신 노동자 차별과 학대 부정의 근거로 내세우는 것도 이해 안 되는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1945년 8월9일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으로 조선인도 약 1만명 희생됐다. 교포 사회의 숙원이던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는 건립 추진 27년 만인 2021년에야 세워졌다. 행복실현당 등 일본 우익의 반대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비석 높이를 낮추는 등 우여곡절도 겪었다. 일본 당국이 징용령에 따른 합법적 동원이었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비석 문구도 ‘강제’ 대신 ‘본인의 의사에 반해’ 징용·동원된 사례가 증가했다는 표현으로 절충됐다.

현재 나가사키현 내 한국계 원폭 1세 생존자는 15명 안팎으로 파악된다. 강 단장은 “매년 피폭일 하루 전(8월8일) 위령제를 하면서 이 사실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며 “왜 이곳 나가사키에서 많은 한국인이 피폭되고 목숨을 잃었는가를 알리고 계승하지 않으면 위령비를 세운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나가사키=유태영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