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비싸다고 망설였는데”‥ 소비쿠폰 어디 썼나 봤더니

입력 : 2025-08-12 06:11:00 수정 : 2025-08-11 19:51:20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농진청, 수도권 소비자 1000명 대상 소비 성향 조사
식품구매 응답 비율 83.5%
코로나 때보다 먹거리 수요 증가

정부가 민생 안정과 소비 촉진을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과일·과채류, 육류 등 농축산식품 소비 진작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종 코로나19 당시 지급된 재난지원금과 비교해 ’먹거리 소비‘에 더 많이 사용된 특징을 보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일주일을 맞는 지난달 28일 오후 광주 광산구 송정시장 한 상점에 '민생 회복구폰 사용 가능' 문구가 걸려 있다. 광주=뉴시스

 

11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이 최근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재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3.5%가 ‘먹거리 구매’에 소비쿠폰을 사용했거나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동일 응답률(60.0%)보다 23.5%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먹거리 항목 중에서는 과일·과채류(70.7%)와 육류(66.4%) 소비에 사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과일·과채류를 구매하겠다’고 답한 소비자 중 가장 많이 구매하겠다고 꼽은 품목은 복숭아(38.1%)로, 전 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어 수박(22.1%), 사과(18.3%), 포도(13.0%) 순이었다.

 

‘육류를 구매하겠다’고 답한 소비자 중 40.2%는 한우를 선택했다. 이어 돼지고기(34.3%), 수입 쇠고기(11.6%)가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하에서는 한우, 60대 이상은 돼지고기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곡물류 소비는 쌀(42.0%), 콩류(31.2%), 옥수수(12.6%) 순으로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채소류는 오이(21.0%), 상추(14.0%), 배추(11.9%) 순으로 나타났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제한에 대해 응답자의 51.4%는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불편하지만 취지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30.4%, ‘상관없다’는 의견은 4.1%로, 소비쿠폰에 대한 정책 수용도는 총 85.9%에 달했다.

 

위태석 농진청 농업경영혁신과장은 “소비쿠폰 사용으로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이 살아난 것 같다”며 “소비 회복과 농가 소득 안정이라는 정책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농식품 홍보, 판촉 지원 등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