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TF는 11일 식품업계를 불러 가공식품 물가 안정에 동참해달라고 촉구했다.
당 물가대책TF는 이날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식품업계의 현안과 애로사항을 듣고, 가공식품 물가 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유동수 TF 위원장을 비롯한 TF 위원들과 한국식품산업협회 및 16개 식품회사 관계자, 기획재정부·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유 위원장은 “우리나라 물가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해 상당히 높은 편”이라며 “특히 필수재인 식료품 가격이 OECD 평균의 1.5배에 달해 국민 체감 물가를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상 기후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불안,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해 식품업이 처한 환경을 잘 알지만, 국민 일상과 밀접한 가공식품 물가 안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많은 식품 기업이 가공식품 물가 안정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주기를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TF는 국내 설탕 시장의 92%를 점유하고 있는 제당업계 3사(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와 협의를 통해 지난달 B2B 설탕 시장에서 4%대 가격 인하를 이끌어냈다.
박경아 식품산업협회 전무는 “해외 매출 비중이 높지 않은 기업들은 5% 미만의 영업이익률을 가지고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하고 애쓰고 있다”며 “온라인 유통 플랫폼의 독과점 구조로 기업이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또 업계는 R&D 투자 지원, 최근 수출 상승세인 K-푸드 지원을 위한 설비 투자 지원 등을 정부에 요청했다.

TF는 이날 간담회에서 특별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유 위원장은 간담회 후 기자들을 만나 “업계는 업계대로 힘들다고 한다. 다른 나라들은 자국 생산 비중이 높은데, 우리는 100% 수입하다 보니 해외 수입 구조가 고스란히 원가에 반영되는 구조”라며 “설탕 가격이 내려간 것은 굉장히 고맙게 생각하고, 강제적으로 어떤 부분을 내리라고 할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다. 같이 숙의하고 고민해 보겠다”고 전했다.
또 유 위원장은 “민생이 얼마나 어려우면 국가가 국고채를 발행해서 국민에게 민생 지원 소비 쿠폰을 발행했겠느냐. 그런 부분을 공감해 달라고 간절히 말씀드렸다”며 “국민들이 너무 어려우니까 (회사로) 돌아가셔서 ‘민주당에서 국민들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물가적 측면에서 고민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해달라’ 말씀드렸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