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北 대남확성기 일부 철거… 남한 조치에 ‘호응’

입력 : 2025-08-10 19:30:00 수정 : 2025-08-10 21:25:47
김병관 기자 gwan2@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합참 “북한군 전방 철거활동 포착”
軍 대북확성기 철거 닷새 만에
한·미연합훈련 조정도 영향 준 듯

북한이 대남 확성기 일부를 철거하기 시작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9일 밝혔다. 우리 군이 지난 4일 대북 심리전을 위해 전방에 설치한 대북 확성기 시설을 선제적으로 철거하기 시작한 지 5일 만에 나온 호응조치다.

 

합참은 언론 공지를 통해 “북한군이 오늘(9일) 오전부터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는 활동이 식별됐다”고 전했다. 이어 “전 지역에 대한 철거 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며, 우리 군은 북한군의 관련 활동을 지속 확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진강변 북한군 확성기 우리 군이 지난 4일 대북 심리전을 위해 전방에 설치한 대북 확성기 시설을 철거한 지 5일 만인 9일 북한이 대남 확성기 일부를 철거하기 시작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사진은 10일 경기 파주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 임진강변의 북한군 초소와 대남 확성기. 파주=연합뉴스

북한이 대남 확성기를 설치한 것으로 파악된 지역은 40여곳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철거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이런 조치는 지난 4∼5일에 걸쳐 우리 군이 고정식 대북 확성기 20여개를 모두 철거한 것에 화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우리 군이 지난 6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을 당시엔 하루 만에 대남 소음방송을 멈춘 바 있다. 이를 두고 북한이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우리의 선제 조치에 ‘행동 대 행동’ 원칙에 입각해 호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10일 “남북 간 긴장을 일정 수준 관리하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북한도 긴장 완화를 선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임 교수는 또 “북한의 이번 조치는 한국이 선제적으로 취한 행동(대북 확성기 철거)에 대한 비례적 대응으로, 향후 유사한 상황에서 한국이 먼저 긴장 완화 조치를 취하면 북한도 호응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했다.

 

특히 북한의 대남 확성기 철거가 한·미 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 계획이 지난 7일 발표된 이후 이뤄졌다는 점이 주목된다. 한·미는 연합 연습 일정을 분산하되 훈련 규모는 이전과 동일하게 실시하겠다고 밝혀 북한의 대남 태도 변화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다만 이런 긍정적인 흐름이 남북 간 대화 재개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남한의 선제적 조치들에만 제한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일 뿐, 남북 대치 국면의 해소 흐름이 다른 영역에까지 확산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비정치적·인도적 사안인 ‘표류 북한 어민’ 6명 송환, 북한 주민 시신 인도 등을 위한 이재명정부의 소통채널 복원 시도에 북측이 무응답으로 일관한 데서도 이러한 기조를 엿볼 수 있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달 28일 담화에서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며 “조한관계(조선·한국 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고 이재명정부 들어서도 ‘적대적 두 국가론’을 고수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국가 대 국가로서 외교 관계를 수립한다면 대화에 나올 수 있겠지만, 남북 대화에는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병관 기자 gwan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
  • 전소미 '깜찍한 볼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