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몽촌토성서 고구려 목간 첫 발견… “국내 최고(最古) 가능성”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1-18 13:27:39 수정 : 2022-01-18 13:27:3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서울 몽촌토성에서 발견된 목간.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서울 몽촌토성에서 고구려가 551년 이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이 발견됐다. 출토 정황상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간이자, 처음 발견된 고구려 목간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성백제박물관은 백제 한성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 유적인 몽촌토성의 북문터 집수지에서 먹물로 쓴 글자가 있는 고구려 목간 한점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목간은 길이 15.6㎝, 너비 2.5∼2.7㎝, 최대 두께 0.4㎝이다. 글자는 한쪽 면에서 10∼13자가 확인됐다. 조사단은 전문가들을 불러 판독자문회의를 진행했으나, 글자를 정확히 판독하지 못했다. 

 

박물관 측은 출토 정황상 작성 하한이 551년 이전인 고구려 목간일 것으로 추정했다. 목간이 발견된 집수지가 고구려 유적이고, 주변에서 고구려 토기가 나왔다는 점 등을 봤을 때 고구려 유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집수지를 축조하는 데 사용된 목재와 내부에서 수습한 목재는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과 위글매칭법 등 연대 분석 결과 469∼541년 유물로 파악됐다.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목간이 출토되면서, 고구려가 몽촌토성 일대를 다스렸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 박물관 관계자는 “몽촌토성은 고구려 흔적이 별로 없는 풍납토성과 달리 고구려가 토목공사를 행한 양상이 잘 남았다”며 “북문터 조사 현장에서도 백제가 떠난 뒤 고구려가 수리하거나 새롭게 조성한 도로·건물터 유적과 토기·화살촉 등 전형적인 고구려 유물이 나왔다”고 말했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견된 목간은 주로 6∼7세기 백제와 신라에서 만든 것들이다. 신라 목간은 목간의 보물창고로 불리는 경남 함안 성산산성과 신라 왕성인 경북 경주 월성, 사람 얼굴 모양 토기가 발견된 경산 소월리 유적 등에서 나왔다. 백제 목간으로는 부여에서 출토된 ‘구구단’ 목간과 ‘논어’ 목간 등이 있다. 인천 계양산성에서도 고대 ‘논어’ 목간이 발견된 적이 있다. 

 

박물관은 이번에 발견된 목간을 오는 21일 한국목간학회가 개최하는 학술회의에서 공개할 계획이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