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 영월군, 경기 성남시 등 10개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드론 실증도시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새로운 드론 서비스를 미리 구현해보는 드론 실증도시 10곳과 우수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는 드론 규제 샌드박스 13개 사업자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드론 실증도시로는 강원 영월군, 경기 성남시, 경남도, 광주광역시, 대구 수성구, 대전시, 세종시, 울산시, 전북 진안군, 충남 서산시 등 10곳이 선정됐다.
해당 지자체에는 각 도시 특성에 따라 맞춤형 사업을 실증하기 위한 10억원 안팎의 예산이 지원된다.
영월에서는 캠핑장 드론 물류배송 서비스, 경남도에서는 산업단지 유해화학물질 측정·관리 등의 드론 실증사업이 추진된다. 광주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상습 수해 지역 순찰 및 긴급대응, 서산에서는 섬 지역 드론 배송 서비스 구축 사업이 진행된다.
국토부는 유비파이, LIG넥스원, 피스퀘어, 나르마, 엑스드론, 무지개연구소,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니어스랩, 카르타, 리하이, 스마티, 지텔글로벌, 한국법제연구원 등 13곳을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자로 선정했다. 글로벌 피자 체인과 연결한 피자 배달 서비스 상용화 드론 방호 시스템 고도화, 도서 지역 혈액 배송 등의 사업을 진행하게 되고, 컨소시엄별로 1∼3억원의 실증 비용이 지원된다.
윤진환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드론 실증도시와 같은 실증지원 사업을 비롯해 규제혁신, 연구개발, 해외진출 지원 등 다양한 정책지원을 통해 드론 기업의 성장을 돕겠다”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