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관세청, 대대적 조직개편… 수출입 안전망 강화

입력 : 2021-03-23 20:34:24 수정 : 2021-03-23 22:47: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화물검사 총괄 안전검사과 신설
공항·항만에 통관정보과도 설치
관세외교·기업지원 업무 일원화
노석환 관세청장이 지난달 4일 부산본부세관에서 열린 '2021 전국세관장회의'에서 20년만에 단행되는 대대적인 조직개편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관세청 제공

관세청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20여년 만에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관세청에 따르면 23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관세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이 의결됐다. 관세청의 조직개편은 1990년대 말 수출입 중심의 국가경제 성장 시기에 신속통관을 목표로 단행했던 2000년 조직개편 이후 21년 만이다. 개편의 주요 내용은 크게 △수출입 안전망 강화 △기업지원 역량 집중 △데이터·신기술 활용기반 구축 △공정무역질서 수호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수출입 안전망 강화를 위해 위험물품 분석·검사 업무와 수출입 현장 감시 업무를 통합·연계한다. 본청 통관지원국과 관세국경감시과(개편 전 조사감시국 소속)를 ‘통관국’으로 통합하고, 수출입화물에 대한 모든 검사 업무를 총괄하는 ‘수출입안전검사과’를 신설한다. 세관의 수입과, 수출과, 화물검사과를 ‘통관검사과’로 통합해 마약, 방사능, 폐기물 등 사회안전·민생 침해물품을 집중 검사한다. 또 주요 공항과 항만 세관에 ‘통관정보과’를 신설해 공항·항만별 주요화물과 물류환경 특성에 맞게 우범물품을 선별한다.

아울러 기업지원 역량 집중을 위해 우리 기업의 해외활동을 지원하는 관세외교와 기업지원 업무를 일원화한다. 본청 정보협력국의 국제협력 부서와 자유무역협정집행기획관을 ‘국제관세협력국’으로 통합·재편해 정부 유일의 해외통관 실무 해결기구로서 품목분류·FTA 원산지 증명·통관지연 등 기업 애로사항을 해결한다.

수출입 물류 데이터 활용과 디지털 혁신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도 구축한다. 기존 정보협력국에서 정보화부서를 독립시켜 ‘정보데이터정책관’으로 개편해 유니패스(UNI-PASS)의 안정적 운영과 현장 맞춤형 신기술 연구개발(R&D) 수행을 주도한다. 특히 관세무역 데이터와 통계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인공지능(AI)과 공공데이터 개방 등을 통해 국민의 일상과 수출입·물류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예정이다.

 

세종=우상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