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닷새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사거리(왼쪽)와 미세먼지가 보통으로 회복된 7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사거리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차 북·미 정상회담 평가’ 세미나에 참석해 비공개 강연을 한 뒤 기자들과 만나 한국 내 미세먼지와 관련해 “분명히 중국발 원인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가 알기로는 중국하고 지난주에 환경장관회의가 있었고 (양국이) 공동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협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받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한·중 공조방안 마련을 지시한 데 대한 입장을 요구받은 뒤 “한국의 미세먼지가 중국에서 온 것인지에 대해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발언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 |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한반도의 초미세먼지 대기 상황. 윗줄 왼쪽부터 4~5일, 아랫줄 왼쪽부터 6~7일. 어스널스쿨 홈페이지 캡처 |
강 장관은 “외교부가 정기적으로 대화의 채널이 있을 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중국과 환경 공동위를 저희가 주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루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강 장관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질문받자 “미세먼지 생성 원인은 매우 복잡하다”며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말한 것인지, 전문가 분석이 뒷받침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최근 서울과 수도권에 며칠째 시민들이 미세먼지에 대해 원망이 크며, 이는 정부에 압력이 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며 “진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원인이 외부에 있다는 생각부터 해서는 안 된다. 원인이 도대체 무엇인지 직시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임국정·홍주형 기자 24hou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