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세계는 굴뚝 막고 원자력 버리는데…여전히 '연기' 뿜는 한국 [뉴스+]

입력 : 2019-01-28 20:43:35 수정 : 2019-01-28 17:28:2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전 세계 패러다임 변화 외면 / “온실가스 저감”… 속속 태양열·풍력 대체 / 韓, 2030년 석탄 비중 36%로 1위 전망 / 원자력 24%, 신재생에너지는 20% 그쳐 / 발전 단가 상승·시장서 도태될 우려 커
최근 독일의 정부위원회인 석탄위원회가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을 2038년까지 중단하기로 했다. 독일은 2017년 기준으로 나라 전체 전력 생산 가운데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의 비중이 37%에 달한다. 독일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전통방식 발전을 태양열, 풍력 등으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탈석탄’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독립국’를 실현하는 게 목표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이렇게 온실가스 저감 등을 위해 탈석탄으로의 발전 패러다임을 속속 변환하고 있는데 한국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전통 방식의 발전에 높은 비중을 맡기고 있는 한국의 현실이 향후 높은 발전단가와 세계 시장에서의 도태 등의 부담으로 돌아올까 우려된다.

28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세계 발전산업 패러다임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석탄 등을 이용한 세계 전통발전원의 총 발전량은 2만4656TWh(테라와트시)로 추정된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전통발전의 전기공급 비중은 2012년 95%, 2013년 94.3%, 2014년 93.7%, 2015년 92.8%, 2016년 92% 등 매년 감소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실제 1, 2차 산업혁명 이후 전기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이었던 석탄발전이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부각되면서 유럽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탈석탄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다. 유럽의 경우 2010년 이후 신규 건설된 석탄발전소는 5GW인 데 반해 폐쇄된 석탄 발전소 용량은 18GW, 미주지역 역시 신규 건설용량은 4GW에 불과하나 폐쇄된 용량은 46GW에 달한다.

그런데 한국의 상황은 영 딴판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한국의 2017년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은 원자력 30.3%, 석탄 45.4%, 액화천연가스(LNG) 16.9%, 신재생 6.2% 등이다. 한국은 이를 2030년까지 원자력 23.9%, 석탄 36.1%, LNG 18.8%, 신재생 20.0%로 조정하는 로드맵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화석연료 발전을 일부 줄이고 태양광 등을 또 일부 늘리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이 같은 발전 구조는 비용 측면에서도 한국에 부담이다. 태양광 설치비용은 MW(메가와트)당 2010년 330만달러에서 지난해 90만달러까지 떨어졌다. 풍력도 166만달러에서 84만달러로 하락했다. 화력발전 등이 자원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연료비 상승으로 발전단가가 올라가는데 신재생에너지는 반대로 떨어지는 특성 때문이다.

글로벌 트렌드와 다른 전통방식의 발전 방식 유지가 산업계에 미칠 파장도 주목된다. 예를 들어 한국 건설사의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수주액은 같은 기간 발전분야 총 수주액의 0.9%에 불과했다. 이에 보고서는 “우리나라는 세계 발전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현 추이가 지속될 경우 발전분야 수주액은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세계 발전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주 비중이 50%를 넘어가고 있어 화석발전에 집중한 수주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