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증가폭은 9만7000명으로, 전년도 31만6000명의 3분의 1에도 채 미치지 못했다. 2009년 8만7000명 감소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취업자 증가폭이 1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도 최근 8년간 처음이다.

2017년 말 정부는 2018년 취업자 증가폭을 32만명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7월 전망치를 18만명으로 제시하면서 대폭 물러섰으나 그것마저 방어하지 못했다.
정부가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통한 일자리 만들기보다 세금을 들여 별로 효과가 없는 단기 일자리 창출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겨울철을 대비해 12월부터 5만9000개의 단기 공공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취업자 증가폭은 3만4000명에 그쳤다. 올해에도 일자리 상황이 좋아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 설치된 대한민국 일자리상황판 앞에서 참모진에게 일자리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인구 감소폭보다 고용 증가폭이 크지 않다. 인구 구조도 취업자 증가폭 둔화에 일부 영향을 미치지만 본격적으로 인구 영향이 나타나는 건 최소 2022년 정도”라며 “인구가 감소하면 고용률이 높아져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연간 고용률은 2009년(-0.1%포인트) 이후 처음으로 0.1%포인트 하락하며 60.7%를 기록했다. 지난해 실업자는 107만3000명으로 같은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2000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해 실업률은 3.8%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올랐고 2001년(4.0%) 이래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2019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서 “2021년까지 3년은 취업이 굉장히 어려울 수 있다”면서 “올해 일자리 15만개를 만드는 데 전력투구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