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사의 안뜰] 난세에 영웅이 탄생하듯 전란은 ‘출세의 기회’였다

입력 : 2017-07-16 10:13:22 수정 : 2017-07-16 10:13: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50〉 과거 급제 기록으로 본 전쟁의 역설
우리는 남과 북이 휴전선을 사이에 놓고 첨예하게 대치하는 현실에서 늘 전쟁을 걱정하며 살고 있다. 서로가 생사를 걸고 싸웠던 6·25전쟁이라는 비극적 역사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철저한 신분제가 오랫동안 유지되던 전통사회에서 전쟁은 정치, 경제적으로 억눌렸던 사람들의 위치를 역전시키는 계기가 된 측면도 있다.

필자는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있는데, 무과(武科) 급제자를 정리하면서 이러한 사례들을 자주 볼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양반만이 과거 시험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하층민이 과거를 통해 출세하기는 거의 불가능했다. 특히 문과의 경우 불법적인 방법이 아니고서는 급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과거는 양반의 전유물이었다.

철저한 신분제가 오랫동안 유지되던 전통사회에서 전쟁은 정치, 경제적으로 억눌렸던 사람들의 위치를 역전시키는 계기가 된 측면도 있다. 사진은 영화 ‘대립군’의 한 장면.
하지만 무과는 전시 상황 등 특수한 상황에서는 하층민에게도 일부 응시 기회가 주어지기도 했고 따라서 급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으로는 전쟁이라는 어지러운 상황으로 인해 시험 관리가 부실했던 면도 있었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서는 “임진왜란이 한창인 1593년 임금이 피난한 의주에서 무사 200명을 뽑았는데 국가의 법이 엄하지 않아 노비들도 시험장에 나가 과거를 도둑질한 일이 있었다”는 기록에서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여기에는 구인후라는 자가 “왜란과 호란을 겪은 이후로 무과에 활쏘기와 말타기만을 하였기 때문에, 병법에 통달한 자가 도리어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탄하는 글이나 “인조 병자년에 평안도에서 무과를 실시하고 싸움터에 나가기를 자원하는 자는 어느 도를 막론하고 모두 응시하게 하였다”는 글들을 보면 시험 관리만 부실한 것이 아니라 시험 과목도 매우 간소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도 응시하여 급제할 수 있었다. 

충남 서산 진충사가 소장한 ‘정충신 장군 영정’. 전란기에 성공한 대표적인 인물로, 무과에 올라 정묘호란에서 큰 공을 세우는 등 활약했다. 사후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내려져 지금까지도 역사가 기억하는 이름이 되었다.
진충사 제공
이를 확인이라도 해 주듯이 무과 합격자 명단인 무과방목(武科榜目)을 보다 보면 특이한 기록들이 보인다. 무과는 한번에 28명 내외의 급제자를 선발하였는데 전시이거나 그에 준하는 시기에는 급제자가 수백 명 단위로 급증하기도 한다. 또한 이런 시험에서 급제한 사람들의 명단을 보면 이상한 이름들이 많이 보인다. 1637년 별시 무과 급제자를 보면, 안끝남(安唜男), 주얼동(朱於里同), 정끝동(鄭唜同), 옥글동(玉文里同)이라는 이름들이 등장한다. 이름을 보면 양반들이 쓰던 이름이 아니다. 주로 평민들의 이름으로 ‘마지막에 겨우 얻은 아들’이라고 해서 ‘끝동이’, 글을 잘 배워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글동이’라고 이름 지었을 것이다. 그런데 과거를 보면서 이 이름을 한자로 적어서 제출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끝’, ‘얼’, ‘글’은 해당하는 한자가 없거나 표기하기가 힘들어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물론 당시의 발음이 ‘끝남이, 글동이’였는지는 불확실하지만 이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측할 수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전체를 수록한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서는 이와 유사한 이름들을 보기 힘들지만 무과방목에는 많이 나타난다. 무과 중에서도 조선 전기의 기록에서는 보기 힘들고, 주로 후기의 기록에 많다. 이러한 현상을 조선 후기라는 특수한 시대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이 과거에 응시하고 합격한 1637년은 병자호란 등으로 국토가 오랑캐에게 유린되던 어수선한 시기였다. 조정에서는 전란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로 무인을 선발해야 했다. 이를 위해 무과 응시 자격을 양반의 범위를 넘어 평민에게까지 확대했던 것이다. 그 결과 양반과 평민을 포함하여 5000명이 넘는 인원을 한 번에 선발했다. 기록을 보면 이외에도 1000명 이상 선발한 무과시험이 조선시대에만 10차례나 된다. 더욱이 1676년(숙종 2년)에는 무려 1만7652명이나 되는 무인을 선발하였다. 정약용은 이러한 현상을 빗대어 “수백 인을 뽑는 것을 천과, 수천인을 뽑는 것을 만과(萬科)라고 일컫는다”고 하였는데, 이 때문에 조선 후기에 시행된 무과가 만과라고 일컬어지는 현상까지 생겼다. 선발 인원이 많은 만큼 기회도 확대되었고, 또한 급제할 가능성도 동시에 높았다. 이렇게 많은 사람을 선발한 시기는 주로 국방상 중요한 일들이 있던 때였다. 전시 또는 그에 준하는 시기에 치러진 무과는 단순한 무관 선발 시험을 넘어 그동안 억눌려 살았던 하층민이 신분 상승을 도모할 절호의 기회였다. 난세에 영웅이 탄생하듯, 전란은 출세의 기회를 제공했다.

전란기에 인생 역전에 성공한 대표적인 인물로 금남군(錦南君) 정충신(鄭忠信, 1576~1636)을 들 수 있다. 정충신은 ‘조선왕조실록’에 전라도 광주의 아전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행적과 관련해서 ‘연려실기술’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정충신은 자는 가행(可行)이며, 본관은 광주이고, 고려 장군 정지의 후손이다. 미천한 집에 태어나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군졸이 되었다.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이 의주에 있는 선조임금에게 장계를 전달할 사람을 모집하였는데, 다들 두려워하여 응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때 정충신이 용기를 내어 가기를 청하니, 그때 나이가 17세였다. 길에 가득한 적병을 피하여 단신으로 의주에 도착하였다. (중략) 이항복이 그를 가까이 두고 사랑하였다. 가을에 시행한 무과에 올랐다.” 정충신은 임진왜란이 한창일 때, 의주에서 실시한 무과에 급제하여 무인으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1624년 인조반정 공신 이괄이 난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였고,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부원수가 되어 청나라와 싸우는 등 큰 공을 세웠다. 사후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내려져 지금까지도 역사가 기억하는 이름이 되었다. 

양창진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유극량(劉克良·?~1592)이라는 인물이 있다. 연안유씨의 시조로 알려지는 인물인데, 어렵게 혼자 공부하여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런데 급제 직후 어머니가 ‘나는 원래 재상 홍섬(洪暹)의 노비였는데 도망하여 너의 아버지를 만나 너를 낳았다’고 털어놓았다. 조선 중기 이전에는 부모 중 한 사람이 노비이면 자식에게도 그 신분이 세습되었다. 따라서 유극량도 노비로 과거를 볼 수 없었다. 그는 홍섬에게 이 사실을 솔직하게 말하자 그의 재능이 뛰어남을 알고 노비에서 면천해 주었다고 전한다. 그 후 유극량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임진강을 방어하다가 전사하였고, 그 공으로 무의(武毅)라는 시호를 받았다. 유극량도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없었으면 시호를 받을 정도의 인물이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무과를 시행하여 널리 인재를 등용하여 국난을 극복하려는 시대적 필요성에도 조선 조정은 급제자의 양산으로 인해 신분제가 동요하는 것을 막으려고 애를 많이 썼다. ‘광해군 일기’를 보면, “이번 증광 무과 급제자가 300여 명이었는데, 이것이 비록 국방을 강화하려는 데에 중점을 둔 것이라 하더라도 요행히 벼슬을 얻는 문이 한번 열리게 되면 뒷날의 폐단을 막기 어려울 것입니다” 하여 과거 급제자의 양산으로 인해 신분제의 근본이 무너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양반 사회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할 거리를 준다. 전쟁은 비극이며 살 떨리는 공포가 될 수 있지만 삶 자체가 하루하루 전쟁이고 아무리 노력해도 계층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전쟁을 굳이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다.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 핵무기 실험 관련 기사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 “발사 기지를 원점 타격해라”, “미사일을 격추해라” 등 우리도 막 나가자는 식의 글들이 보인다. 과연 진심으로 전쟁을 바랄까 하고 의문을 가져 보기도 하지만, 세상이 뒤집어졌으면 좋겠다고 공공연히 표현한다. 계층 간 격차가 확대될수록 이런 위험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늘어날 수 있다. 우리가 이룩한 평화를 계속 누리기 위해서는 주위에서 소외된 이웃들과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전쟁은 일어나서는 안 된다. 서로가 공정하게 경쟁하고, 경쟁에 진 사람도 재출발 기회가 부여되는 정의로운 사회가 바로 평화를 지키는 초석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양창진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