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적응 정책에 대해 자문·심의할 ‘2050 서울특별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서울시 탄중위)가 출범했다.
서울시는 23일 서울 시청에서 서울시 탄중위 출범식 및 1차 회의를 열고 서울시 주요 탄소중립 정책을 공유하고 논의했다. 서울시 탄중위는 ‘서울특별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조례’ 제정에 따라 신설됐으며 김의승 행정1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한다.

1기 위원회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등 각 분야별 전문가를 포함해 총 25명으로 구성됐다. 이달부터 2년 간 탄소중립 사회 이행과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주요 정책 및 계획, 그 시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2005년 대비 온실가스 30% 감축을 위한 종합계획(2022∼2026) 수립 △탄소중립 지원센터 지정·운영 △탄소중립이행책임관 지정 △기후예산제 본격 도입 등 이행 체계를 마련해 시행 중이다.
이날 첫 회의에서 기준학 위원(숙명여대 교수)은 “정성 평가가 아닌 일자리 창출 등 효과성에 대해 분명하게 평가하고, 제3자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천규 위원(유엔지속가능발전센터 센터장)은 “취약성 평가를 통해 리스크를 구체화한 이후 계획을 발표하는 게 설득력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전했다.
김의승 행정1부시장은 “최근 폭우 등 극단 기상현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및 기후위기 적응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