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감찰본부장, 친정권 인사 평가 받는 사람
이번 기회에 ‘정치와 검찰의 단절’ 선언해주길”

윤석열 전 검찰총장 재임 당시 검찰이 정치권에 여권 인사 등에 대한 고발을 청탁했다는 의혹에 대해 대검찰청이 진상조사를 시작한 가운데, 감찰과장을 지낸 부장검사가 “한동수 감찰본부장을 믿지 못하겠다”는 글을 올렸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정희도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는 이날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에 ‘검찰총장께 드리는 글’을 올렸다.
정 부장검사는 “한 감찰본부장은 지난 ‘총장 징계 시도 사태’시 법무부에 ‘윤 총장은 총선에서 야당이 이길 것으로 생각한듯하고 채널A 사건은 한동훈 검사장이 혼자 한 것이 아니라 윤 총장과 같이 한 것’이라는 취지의 진술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식계통을 무시하고 총장실 압수수색영장을 청구하는 등의 행태를 보여 ‘헌정 질서를 무너뜨리려 한 쿠데타 세력’이라는 일각의 평가를 받기도 했으며 얼마 전에는 소위 ‘한명숙 전 총리 관련 의혹 사건’ 감찰 시 수사팀 검사에 대해 무리하게 ‘검찰총장 경고’ 처분을 시도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 감찰본부장은 지난 윤 전 총장의 징계 시도 사태 당시 공식계통을 무시하고 총장실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하는 행태를 보이는 등 여러 곳에서 친정권 인사라는 평가를 받는 사람”이라며 “이런 분이 진상을 공정하고 진실되게 밝힐 수 있을까”라고 꼬집었다.
이어 “만약 한 부장을 배제할 수 없다면 한 부장의 여권 정치인 등과의 교류 여부를 철저히 검증해달라”며 “레드팀을 설치해 공정과 중립, 진실 부합 여부 등을 철저히 검증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 부장검사는 “채널A 사건에서 몇 가지 팩트를 엮어 검언유착이라는 거대한 프레임을 만들어 낸 것처럼, 고발 사주 의혹 역시 프레임 조작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의혹 제보자가 국민의힘 정당 관계자라는 보도도 나오는 듯한데, 그렇다면 대선 경선을 둘러싼 프레임 조작 가능성 역시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기회에 ‘정치와 검찰의 단절’을 선언하시고 관련 방지책을 만들어주시길 바란다”며 “정치인과의 만남, 연락 등에 대한 신고를 의무화하는 등의 방안도 도입해 이번 기회에 검사와 정치인의 부적절한 교류를 차단·예방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뉴스버스는 지난 2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 시절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현 수사정보담당관)으로 근무한 손준성 인권보호관이 지난해 4월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후보였던 김웅 의원에게 범여권 인사에 관한 고발장을 전달했다는, ‘청탁 고발’ 의혹을 보도했다. 뉴스버스는 해당 고발장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와 황희석 최고위원 등이 명예훼손 혐의 고발 대상으로 적시돼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같은 날 김오수 검찰총장은 해당 의혹에 대해 대검 감찰부에 진상조사를 지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