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윤석열 검찰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해 “윤 후보가 직접 해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2일 울산시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이렇게 말하며 “(고발 사주가) 총장 양해 없이 가능했겠냐”며 “총장이 양해를 안 했다면 그건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뇌물 사건을 예로 들었다. 그는 “박 전 대통령과 이 부회장을 공범으로 묶을 때 윤 검사(윤 전 총장)가 묵시적 청탁설로 묶었다”며 “‘말 안 해도 했겠지’ 이걸로 대법 판결을 갔다. 이건 마치 궁예의 관심법이다. 그거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이론대로라면 묵시적 지시설”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는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송파갑 국회의원 후보였던 김웅 의원이 미래통합당에 고발장 한 부를 전달했는데, 김 의원에게 이 고발장을 전달한 사람이 당시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 손준성 검사였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은 검찰총장의 내밀한 지시를 이행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고발장 전달은 당시 윤석열 총장의 의중이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손 검사가 김 의원에게 줬다는 고발장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최강욱·황희 당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 등이 고발 대상으로 적혀 있었다고 한다. 이들은 검언 유착 의혹과 윤석열 전 총장 부인 김건희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관련 있는 인물들이다.

한편 윤 전 총장 측은 2일 윤 전 총장의 검찰총장 재직 당시 검찰이 야당에 여권 인사들의 고발을 사주했다는 보도를 공식 부인했다.
윤 후보 캠프 공보실은 “윤 후보는 검찰총장 재직 중 어느 누구에 대해서도 고발 사주한 바가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언론에 공지했다.
김병민 대변인은 별도 논평에서 해당 보도에 대해 “명백히 허위보도이고 날조”라며 “경선을 앞두고 윤 후보를 흠집 내려는 음모이자 정치공작의 소산으로, 뉴스버스는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과 국민의힘 김웅 의원 모두 보도 내용을 부인하고 있고 실제 고발이 이뤄진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 “실체도 불분명한 고발장을 가지고 윤 총장이 연루된 것처럼 보도한 것과 관련해 배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민주당이 보도를 즉각 활용해 윤 후보에게 정치 공세를 펴는 것이 수상한 만큼, 배후 세력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권이 윤석열 당시 총장을 겨냥한 여러 무리수를 두는 상황에서 ‘윤석열 검찰’이 야당에 여권 인사 고발 사주를 했다니 날조도 이런 날조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로 윤 후보에 대한 흠집 내기를 시도하고 국민을 혼란케 하는 뉴스버스에 대해 단호한 법적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윤 후보가 검찰총장으로 재직하던 작년 봄 여권이 채널A 기자의 신라젠 취재 사건을 난데없는 ‘검언유착’으로 둔갑시켰지만, 검찰과 언론이 공모했다는 어떤 증거도 나타나지 않았다”며 “이번 보도는 당시 사건의 재판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