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전 축소 정책과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각각 찬반에 따라 네 가지 보기로 나눠 질문했더니 ‘원전을 줄이고 신고리 5·6호기 건설도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이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전을 줄이되 신고리 5·6호기는 건설해야 한다’는 응답이 30.5%로 뒤를 이었다. ‘원전을 늘리고 신고리 5·6호기 건설도 해야 한다’는 20.8%, ‘원전을 늘리고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중단해야 한다’는 2.4%였다.

해당 응답을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하에서 ‘원전을 줄이고 신고리 5·6호기 건설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50대 이상은 ‘원전을 줄이되 신고리5·6호기는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제3의 대안에 공감하는 응답자들은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일 경우, 광주·전라 지역에서 많이 나왔다. 반면 비공감층은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인 경우, 대구·경북 지역에서 많았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 응답자들 가운데 제3의 대안을 수용할 확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3의 길에 공감한다고 답한 299명 중 60.7%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도 공감했다. 제3의 길에 비공감하는 351명 가운데 신고리 건설 중단에 공감한 비중은 37.0%에 그쳤다. 건설 중단에 공감하지 않는 응답자들이 건설 중단에 공감하는 이들보다 더 완고한 견해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듯이, 신고리 원전 중단 결정에 대한 팽팽한 찬반 여론은 ‘신고리 공론화위원회’ 활동이 끝나는 10월 말까지 뜨거운 논란을 예고한다. 정부가 지난 23일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에너지 전환 국민소통 태스크포스’에서 ‘탈원전’ 대신 ‘에너지 전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점도 이 같은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탈원전을 강조하던 기조에서 신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신산업 창출 등 에너지정책을 포괄하는 쪽으로 간다는 취지다. ‘탈원전’ 정책 홍보는 신고리 공론화위원회의 중립적 활동을 훼손하고 “심판 역할을 해야 할 정부가 선수로 뛰는 것”이라는 비판을 야기했다.
한편 산업부는 에너지 분야 실·국장을 전면 교체하며 탈원전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박차를 가할 태세다. 지난 18일 국장급 전보 인사에서 에너지자원정책관(최남호), 에너지산업정책관(박성택), 에너지신산업정책단장(김정회)을 각각 새롭게 임명했다. 이들을 총괄하는 1급 에너지자원실장 인사도 다음달 중순쯤 단행할 예정이다.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