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시중에서 판매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수입업체 27개사의 46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했더니 이 중 4개 제품이 기준규격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물질이 기준을 초과하면 각막염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두께가 기준치보다 얇으면 시력교정 효과가 줄어들거나 렌즈가 쉽게 찢어질 수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해 콘택트렌즈 총 생산금액은 전년보다 6.9% 증가한 1천587억 원이었고 총 수입금액도 18.3% 늘어난 1천455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이 중 컬러 콘택트렌즈 생산금액은 전년보다 8.4% 늘어난 1천263억 원, 수입금액은 25.8% 증가한 860억 원으로 렌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소비자원은 "컬러렌즈는 의료기기이기 때문에 제품에 기재된 허가사항과 유효기한을 꼭 확인하고 안과나 안경원에서 사야 한다"며 "컬러렌즈는 산소투과율이 낮아 장시간 착용하면 산소공급이 부족해 각막이 붓고 상처가 생기거나 세균 등에 감염될 수도 있으므로 정해진 시간(6시간) 내로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