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an*** “미친 짓이라고 비판하는 인간들이 대다수였고, 지금도 KF-X 발목 잡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youz*** “국산 자동차를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데 40년의 시간이 걸렸다. 전 세계에서 전투기 조립이 가능한 나라는 8개국 정도밖에 안 된다.”
sana*** “삼성과 LG 모두 조립으로 시작해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했다. 미국산 부품 조립으로 시작했지만 연구·개발에 더 투자해 세계 초일류 항공산업 국가가 돼야 한다.”

지난 9일 “FA-50·수리온 조립 한창… KAI 항공기동을 가다”는 세계일보의 르포 기사 보도 이후 인터넷에 달린 주요 댓글 내용이다. 이제 막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 뜀박질을 준비 중인 국내 항공산업 수준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작지 않지만 긍정적인 반응도 함께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국내 유일의 항공우주비행체의 체계 설계 및 개발을 담당하는 기업이다. 기본훈련기 KT-1,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KUH), 무인정찰기 송골매 등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양산 중이다. 2012년 말에는 군단 작전지역 감시정찰 업무를 수행하는 차기 군단 정찰무인기 체계 개발사업도 따냈다.
![]() |
경남 사천에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항공기동에서 이라크와 필리핀 등지로 수출될 국산 FA-50이 최종 조립되고 있다. |

수요 창출의 대부분을 우리 공군 물량에 의존하는 데다 항공 및 전자 부문 관련 핵심 부품 및 기술의 해외 의존도가 높다보니 단기간에 기술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점도 인정해야 한다. 특히 KAI가 미 업체들로부터 기술 이전과 구성품 및 부품 지원을 받아 생산한 항공기의 경우 미 정부의 허가가 있기 전에는 제3국 판매가 불가능해 수출을 통한 이윤 창출도 쉽지 않다. 이런 점에서 T-50 고등훈련기의 수출 약진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동주 숙명여대 교수는 “이런 핵심 기술과 부품의 해외 의존도는 역설적으로 이것들을 국내에서 연구·개발해야 한다는 충분한 당위성 혹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KAI의 미래 발전성은 앞으로도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 |
최종조립을 위해 늘어선 수출용 FA-50. |
2001년 합참의 소요 확정 이후 장기간 사업이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15년 12월28일 계약을 체결하고는 체계 개발에 착수했다. 이후 지난 3월 KF-X 체계요구도검토회의(SRR)를 거쳐 4월 주요 구성품(MFD 등) 선정,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의 AESA 레이더 시제 업체 선정 및 기술협력선인 록히드마틴의 기술인력(14명) 파견, 6월 전투기 엔진 업체 선정 및 풍동시험 착수 등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KF-X는 2021년 시제기 출고 이후 2024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1차로 170대(국내 120대, 인도네시아 50대) 물량이 생산된다.
KF-X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정권의 일관된 의지와 체계 개발을 맡은 KAI의 비용절감 노력과 책임감, 핵심 기술의 국내 개발이 수포로 돌아갈 경우 국제공동개발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발 빠른 대응 등이 전제돼야 한다. 여기에 군도 과도한 요구성능(ROC)을 줄이며, 우리 수준에 맞는 KF-X 개발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worldp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