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여행] 병풍같은 바위… 선비의 기개 닮았구나

관련이슈 'W+'여행

입력 : 2016-02-19 10:00:00 수정 : 2016-02-18 20:28:0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자연이 빚은 풍경화' 단양팔경 사인암
어딘가에 이름을 새긴다는 것은 그만큼 그 장소를 기억하고 싶은 욕망 때문이 아닐까. 휴대전화만 꺼내 들면 자신의 모습을 바로 담을 수 있는 요즘에는 이 같은 행위가 낙서로 치부될 수 있다. 하지만 수백년 전 우리 선조에게 이는 자신의 흔적을 남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었다. 더구나 그곳이 강직함과 지조 등 선비정신과 부합하는 곳이라면 흔적을 남기고픈 유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을 것이다.

단양팔경-. 새삼 말이 필요 없는 관광지 중 하나다. 그중 5경인 사인암(舍人巖)은 단양팔경의 다른 곳과 달리 독특한 매력을 품고 있다. 다른 곳이 풍경 자체로 관광객들의 탄성을 자아내는 곳이라면 사인암은 풍경에 선조의 흔적이 덧칠해져 그 무게감을 더한다.

중앙고속도로 단양나들목에서 10분 정도면 도착하는 사인암은 바로 앞까지 차로 이동이 가능하다. 접근성이 좋다 보니 자칫 그 외관만 보고 감탄한 채 지나칠 수 있다.

하늘을 향해 쭉 뻗은 기암절벽에 옥빛과 황금빛 등으로 채색한 듯한 독특한 색채, 일부러 쌓아올린 듯한 모습을 연상케 하는 격자무늬, 거기에 암벽 정상 위 우뚝 솟은 소나무들까지. 외관만으로도 보는 이의 가슴을 한바탕 뒤흔들어 놓고 깊은 여운을 남길 정도다.
충북 단양 사인암(舍人巖)은 추사 김정희가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의 그림 같다고 표현할 정도로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더구나 이곳을 찾은 선조들이 우뚝 솟은 사인암에 매료돼 음각으로 이름과 시구 등을 새겨놔 과거 선비들이 남긴 다양한 서체도 볼 수 있다.

추사 김정희는 이런 사인암을 두고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의 그림 같다고 했다. 단원 김홍도는 사인암을 보고 그 모습을 바로 그리지 못하고 1년여가 지난 후에나 그림을 완성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걸로 사인암을 봤다고 하기엔 부족하다. 멀리서는 그 경치에 반하지만, 가까이 다가서면 오목새김 된 다양한 서체에 빠져들게 된다. 사인암에 음각된 선조의 이름만 해도 270여명에 이른다. 사인암이 ‘서체 박물관’이라 일컬어지는 이유다.
사인암을 찾은 옛 선비들이 돌에 남긴 이름들.
옛 선비들이 사인암 벽 여기저기에 새긴 이름과 시구 등을 보며 어떤 글자고 의미인지를 유추해보면 좋겠지만 사실 쉽지는 않다. 한자라는 이유도 있지만, 알아보기 힘든 서체로 쓰인 글자도 있다. 이럴 땐 인터넷 검색으로 쓰인 글귀 등을 미리 알아두고 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아는 만큼 보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왜 사인암에 이름을 남겼을까. 기실 올곧고 강직한 선비의 표상을 그대로 빼닮은 사인암의 외관에 매료됐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더해 사인암이란 명칭이 주는 무게를 빠뜨릴 수 없다.

사인암은 단양 출신 고려 말 학자 우탁(禹倬)이 정4품 ‘사인(舍人)’ 벼슬에 있을 때 즐겨 찾은 곳이어서, 조선 성종 때 단양군수를 지낸 임제광이 이를 기려 사인암이라 불렀다. 우탁이 지낸 벼슬명에서 따온 이름인 것이다.

우탁은 높은 기개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고려 충선왕이 즉위 후 아버지 충렬왕의 후궁을 범하자 도끼를 들고 임금에게 직언하는 지부상소를 올린 인물이다. “내 말이 잘못됐을 땐 이 도끼로 목을 쳐도 좋다”는 의미로 목숨을 내놓고 상소를 올릴 정도로 기개가 높았다.

이렇듯 우탁의 생애는 선비정신의 표본이라 할 수 있어 후대에 이를 잇겠다는 의지 표현으로 사인암의 곧음과 기개를 기리는 시구들을 벽에 새겨 남겼던 것이다.

卓爾弗群 確乎不拔(탁이불군 확호불발) “뛰어난 것은 무리에 비할 바 아니며, 확실하고 단단해서 꿈쩍도 않는다.”(조선 영조 때 단양군수 조정세)

獨立不懼 遯世無憫(독립불구 둔세무민) “홀로 서니 두려운 것이 없고, 세상을 등지니 근심이 없다.”(조선후기 문인 이윤영)
사인암을 찾은 옛 선비들이 장기를 두기 위해 평평한 돌에 장기판을 새겨놨다.

사인암 주변을 둘러보면 장기판과 바둑판이 새겨진 바위를 볼 수 있다. 계곡과 멋진 풍광을 자랑하는 사인암을 끼고 장기 바둑을 즐겼다면 이보다 더한 신선놀음이 어디 있을까 싶다. 다만 아쉬운 것은 누군가 바둑판을 떼가기 위해 바위를 자른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점이다.
사인암을 찾은 옛 선비들이 바둑을 두기 위해 평평한 돌에 바둑판을 새겨놨다.

사인암 옆에는 청련암이란 절이 있는데 이 절을 따라 들어가면 사인암 뒤편으로 갈 수 있다. 뒤편엔 삼성각에 오를 수 있는 계단이 있는데, 그 앞에 우탁이 지은 ‘탄로가(嘆老歌)’를 새긴 비석이 관광객들을 맞이한다. 늙음을 한탄한 탄로가는 전해 오는 가장 오래된 시조로 알려져 있다.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단양=글·사진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세계섹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하트 여신'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
  • 김나경 '비비와 다른 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