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와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평택항 출고장에서 아우디 A3와 폴크스바겐 골프·제타·비틀 등 각 차량 1대씩 총 4종에 대해 현장에서 봉인이 이뤄졌다. 25일부터 30일까지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로 옮겨와 검사 전 3000㎞ 내외의 길들이기 주행을 하고 있다. 10월1일에는 교통환경연구소로 차량을 옮겨 이날 오후 3시부터 인증검사를 다시 실시한다. 인증검사는 수입 차량이 국내 배기가스 기준을 충족하는지 점검하는 일종의 통관절차다. 이 과정에서는 그동안 별다른 문제점이 확인되지 않았다.
논란이 된 배기가스 조작과 관련한 본격적인 조사는 10월6일 오전 10시부터 인천에서 진행된다. 인천 시내 일반도로를 주행하며 실도로조건 시험과 임의설정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실제 주행중 급가속과 에어컨 작동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실제 배기가스량을 측정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논란이 된 설정 값 조작을 밝혀내기 위해서는 핸들을 고정하고, 실험실 처럼 차량의 한 구동축만 움직이는 상황 등을 차량이 인지해 배기가스를 줄여주는 소프트웨어가 임의로 작동하는지를 검증한다.
정부의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 시행요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배기가스 검사를 위해 차를 컨베이어벨트 위에 올려 바퀴가 굴러가게 한 상태에서 배기가스를 검사하는 데 이 경우 차량의 핸들이 고정되고, 전륜구동이나 후륜구동의 경우 앞 또는 뒷바퀴만 돌아가기 때문에 소프트웨어가 이를 감지해 저감장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논란의 핵심이다.
환경부는 이 같은 조사를 거쳐 11월 중 조사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그러나 정부가 비교적 빨리 조사에 착수했지만 논란이 된 과거 차량 대신 최신 차량을 점검 대상으로 삼아 논란이 여전하다.

이와 관련 환경부 교통환경과 관계자는 “미국에서 논란이 된 쟁점은 현재 조사대상으로 삼은 최근 차량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했다는 점”이라며 “과거 차량은 그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지 않아 조사하는 게 별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엔진모델이 중요한 게 아니라 문제가 된 저감장치를 조작한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