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세계 최고 의료국, 공중보건 위상은 바닥”

입력 : 2015-06-30 19:39:06 수정 : 2015-06-30 23:20:2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서울대 보건대서 ‘메르스 사태’ 진단 집담회
“한국 사회 의료와 보건 간 괴리가 있었고, 그 취약점이 이번 메르스 사태를 불러왔다고 봅니다.”

보건학, 환경보건학, 의학, 사회학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한 달 넘게 한국 사회를 뒤흔든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대해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이들은 30일 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 열린 ‘한국의 메르스 사태와 공중보건’을 주제로 한 집담회에 모였다.

참석자 대부분은 한국 사회 내 취약한 공중보건의 위상을 지적했다. 조병희 서울대 보건대학원장은 “긴급 상황에 동원 가능한 공중보건 전문가가 전국에 수십명도 되지 않는 것이 한국 공중보건의 현실”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기술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런 괴리가 이번 사태에 여실히 드러났다”고 말했다.

윤충식 서울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도 “의료 기술의 발전은 감염 질병의 환경 전파 예방과 전혀 다른 차원에 있다”며 “초기에 메르스에 대한 단순 의학적 접근 외에 보건을 포함한 다양한 방지 대책이 시행됐어야 했는데 너무나 늦게 채택됐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허술한 초동 대처도 도마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우리는 메르스를 제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이 그 원인이 됐다는 지적했다. 윤 교수는 “메르스에 대한 지식이 분명 불확실성이 큼에도 적극적인 사전 조치가 아닌 소극적 예방에만 급급했다”며 “개인의 질병 감시에만 매달렸기에 광범위한 전파 경로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안 논란이 됐던 메르스의 공기 감염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감염 개연성이 충분히 있다고 입을 모았다. 고광표 서울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절대적인 공기 감염은 아니지만 충분한 개연성이 있는 ‘기회적 공기 감염’이 가능하다”며 “이런 전제 위에서 메르스 예방에 대한 보수적 접근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메르스 사태 종식 이후 정부 움직임에 대한 조언도 이어졌다. 현재 메르스 역학 조사위원으로 활동 중인 조성일 서울대 보건학과 교수는 “사태 이후 감염 질환 역학 조사를 담당하는 인력과 체계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이 현재 필요한 상황”이라며 “단순히 매뉴얼을 마련하는 것이 아닌 하루하루 불확실한 상황에 맞춰 진화할 수 있는 지능적인 시스템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