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6사단 헌병 특수임무대 장병이 지난해 대테러훈련에 참가해 테러범을 제압하는 모습. 육군 제36보병사단 제공 |

지난 1월에는 주한 일본대사관을 폭파하겠다는 협박전화를 한 70대 남성과 국회의사당을 폭파하겠다고 밝힌 50대 남성이 각각 경찰에 붙잡혔다. 국가시설은 아니었지만 지난해 12월에는 극우성향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회원인 고등학생 오모(18)군이 재미교포 신은미씨의 토크콘서트장에 인화물질을 투척하기도 했다. 이번에 리퍼트 대사를 공격한 우리마당독도지킴이 대표 김기종씨는 과거에도 주한 일본대사에게 위해를 가한 전력이 있음에도 재차 범행을 저질렀다.
![]() |
5일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 사건이 발생하자 서울 종로구 세종로 주한 미국대사관 주변에 경비가 대폭 강화됐다. 남정탁 기자 |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장은 “우리 사회가 극심한 분열을 겪고 사회적 스트레스가 증가하면서 일부 테러나 극단적인 폭력으로 연결될 소지가 있다”며 “예방 차원에서 미리 대응 매뉴얼을 준비하고 처벌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를 테러한 김기종씨가 5일 범행 현장인 서울 세종문화회관 강연장에서 붙잡한 뒤 경찰차로 끌려가고 있다. |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국가 대테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대테러 컨트롤타워를 설치하는 사이버테러 및 테러방지법안이 국회에 제출됐지만 아직 상임위조차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만종 호원대 법경찰학부 교수는 “테러는 결국 예방이 최선의 방법일 수밖에 없다”며 “테러 방지 관련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언제 있을지 모를 테러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