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야 바라마 핀란드 보건硏 국장

지난달 20일 세계일보와 만난 마리야 바라마(사진) 핀란드 보건사회연구원 국장은 인터뷰에서 “행복은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느끼는 감정이기에 개개인의 의지에 좌우되기도 한다”며 “하지만 행복은 삶의 질과 직결된 문제이므로 행복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지원해주는 것은 사회와 정부의 몫”이라고 말했다. 핀란드는 직업에 따른 소득 격차나 사회 전반의 빈부 격차가 크지 않아 대체로 평등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바라마 국장은 “학생들은 소득이 높은 특정 직업을 갖기 위해 몰두하지 않으며, 자신의 적성에 맞고 즐거운 일을 찾아서 한다”고 말했다.
복지국가인 핀란드의 소득세는 고율이다. 근로자의 소득에 따른 누진세율을 적용하고 있어 소득이 높으면 절반이 넘게 세금으로 내기도 한다. 고율의 소득세에 따른 국민의 조세저항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세금 집행이 관건이다. 바라마 국장은 “매년 특정 기간이 되면 주민센터를 방문해 이웃들이 얼마의 세금을 냈는지 다 확인할 수가 있다”며 “이웃이 나보다 수입이 많은데 세금을 덜 냈다면 바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기 때문에 돈을 적게 벌고도 억울하게 세금을 더 내는 일은 없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핀란드에서는 정치인과 공무원의 거짓말에 대해 아주 엄격한 잣대를 갖고 있어 사소한 거짓말이라도 한 번 들통이 나면 대중 앞에 설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바라마 국장은 행복의 가장 큰 적은 ‘외로움’이라서 공동체 활동을 통한 협동이 사회의 행복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핀란드에서는 사람들의 공동체 참여 의식이 투철하기 때문에 매일같이 새로운 단체가 새싹처럼 생겨난다”며 “이러한 공동체의 생성과 이를 통한 협동이 사회를 활기차게 하고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핀란드 사람은 삶의 질과 행복감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뉜다. 첫째 그룹은 직업이 있고 가족이 있는 젊은 사람, 둘째는 경제적으로 잘 준비된 은퇴자들이다. 가장 삶의 질이 낮은 마지막 그룹은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과 가족이 없고 경제력이 취약한 노인들이다. 바라마 국장은 “정부와 사회는 마지막 그룹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와 건강권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헬싱키=이재호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