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교과서 중심의 이론교육 탈피…반복적 체험학습 병행 효과적”

관련이슈 신뢰사회 도약 프로젝트

입력 : 2014-12-04 11:48:49 수정 : 2014-12-04 11:48:4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신뢰사회 도약 프로젝트] 김호기 연세대 교수
“약속 어겼을땐 엄격하게 대처… 감시·처벌의 중요성 일깨워야”
“서로 믿지 않으면 불안하다.”

김호기(사진) 연세대 교수(사회학과)는 3일 전화 인터뷰에서 한국사회의 위기요소로 ‘불신(不信)’과 ‘불안(不安)’을 꼽았다. 김 교수는 “불신사회와 불안사회는 궤를 같이하고 있다”며 “개인이 불안하기 때문에 서로 믿지 못하고, 서로 믿지 못하기 때문에 불안한 상황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신뢰를 말할 때 사회 전반적인 시스템에 대한 ‘제도적 신뢰’와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인간적 신뢰’로 나눠 설명한다. 그는 “현재 한국사회는 제도적 신뢰가 현격하게 낮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2012년 치러진 총선과 대선에서 후보자들은 경제민주화, 복지국가 등 ‘공약(空約)’을 남발했고, 2년이 지나도록 실현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유권자들은 제도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며 “이러한 불신이 그들의 불안을 강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제도를 만드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을 하는데도 이에 대한 처벌이 적절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면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불신 사회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학교 교육’을 꼽았다. 김 교수는 “교육은 주위 사람들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제도에 대한 신뢰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라며 “윤리 교육이 현재처럼 고전적인 텍스트만을 다룰 것이 아니라 ‘무감독 시험’처럼 일상에서 신뢰를 높여갈 수 있는 반복적 체험 학습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모두가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무감독 시험 등의 신뢰 체험에서 개인이 약속을 어겼을 경우에는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며 ‘감시’와 ‘처벌’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김 교수는 “개인의 부정행위를 처벌하지 않을 경우 무감독 시험이라는 제도에 대한 신뢰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며 “제도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결국 사람에 대한 신뢰도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futurnalis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