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태주 한성대 교수·ODA Watch대표 |
특히 현 정부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새마을 ODA나 기재부의 경제개발공유사업(KSP)은 난맥상이 심각하다. 지방자치단체까지 가세해 경쟁적으로 예산을 따내기 위해 모든 농촌개발사업과 지역개발사업을 새마을운동으로 포장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제개발공유사업은 무상원조인데도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을 어기면서까지 유상원조를 담당하는 기재부와 관피아들의 고유사업이 됐다. 코이카는 똑같은 개발컨설팅 사업을 개발경험공유(DEEP)라는 다른 이름의 사업으로 하고 있으니 참으로 난맥상이 심각하다. 우리나라 간판 사업인 KSP는 세계은행 보고서를 표절하는 등 개발컨설팅 보고서의 질적 수준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고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집행뿐만 아니라 원조정책의 난맥상은 더욱 심각하다. 최근 기재부는 우리나라 ODA를 2015년까지 국민총소득의 0.25%로 확대하기로 한 국제사회의 약속을 고려해 개발금융을 도입하기로 추진하고 있다. 예산을 늘리기 어려우니 시장에서 개발재원을 조달하고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으로 이자차액과 손실, 리스크를 보전한다는 것이다. 이는 원조 예산을 대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수주 지원을 위해 쓰겠다는 것이어서 우리나라 ODA의 질을 추락시킬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로부터도 자국 이익만 챙기는 상업적 원조국가로 비판받게 될 것이 분명하다.
개발금융은 신흥경제국과 중상위 소득국에 제공되기 때문에 최빈국과 분쟁국, 취약국가를 우선 지원하자는 국제사회의 원조규범에도 맞지 않는다. 그래서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국회는 ODA 예산이 제대로 사용되는지, 원조정책과 집행의 난맥상을 왜 고치지 못하는지 철저히 추궁해 국민에게 보고해야 한다. 국격을 높이는 원조가 아니라 도와주고 비난받는 잘못된 원조 관행을 하루빨리 개혁해야 한다.
이태주 한성대 교수·ODA Watch대표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