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상신호 보내는 4대강… 정말 괜찮을까

입력 : 2014-08-21 20:51:43 수정 : 2014-08-21 20:51:43

인쇄 메일 url 공유 - +

EBS ‘하나뿐인 지구’ 4대강의 처음은 2008년 4대강 사업 추진을 발표하면서부터이다. 국가 예산이 22조원이 들었고 앞으로도 4대강에 들어갈 비용은 늘어날 걸로 추정된다. 녹조가 발생하는 수계에 집중적으로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건설할 예정인데 시설 하나당 약 180억원이 소요된다.

EBS ‘하나뿐인 지구’는 22일 오후 8시50분 4대강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을 현재 실태와 함께 소개하는 ‘4대강, 강물은 지금 숨 쉬고 있나?’를 방송한다.

2008년 대규모 사업 이후 4대강은 큰빗이끼벌레 출현, 물고기 폐사, 녹조 현상 등 문제가 꾸준히 발생해 논란을 빚고 있다.
EBS 제공
지난 6월, ‘큰빗이끼벌레’라는 이름도 생소한 태형동물이 국민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한 곳에서 나타나자 4대강 전역으로 퍼진 큰빗이끼벌레는 물의 흐름이 없는 곳에서 강바닥이나 돌에 붙어 서식한다.

국내 토속 어류 전문가 최재석 교수는 2008년 실험을 통해 큰빗이끼벌레가 수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2m에 달하며 암모니아 냄새를 내뿜는 이 존재가 4대강 수생태계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본다.

지난 7월에는 4대강에서 물고기 폐사가 줄지어 일어났다. 물고기들이 4대강 사업 이후 물속 산소가 줄어드는 등 바뀐 환경에 적응하지 못했다고 한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폐사한 물고기들의 위가 비어있었다는 것이다.

올해 낙동강에는 지난해보다 두 달 앞서 녹조가 발생했다. 녹조는 수온, 일사량, 총인, 그리고 체류시간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여름에 발생하는 녹조는 남조류인데 낙동강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물질이 검출됐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물을 끓여도 사라지지 않고 눈으로 보거나 냄새를 맡을 수도 없다. 1억분의 1 정도 아주 적은 양으로도 사람의 간에 영향을 미쳐 심각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한강에서는 아나톡신이라는 독성물질이 검출됐는데 사람의 신경 시냅스를 자극하여 호흡 곤란, 경련 등을 일으키며 5∼10분 안에 사망할 수 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
  • 미야오 나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