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문화재청과 서울시 등 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문화재에 대한 보수 및 관리실태’에 대한 감사를 벌여 “숭례문의 경우 단청·지반·기와에 대하여 철저한 고증을 거쳐 재시공하도록 문화재청에 통보했다”고 15일 밝혔다.
![]() |
숭례문 복구는 전통 기술의 활용이 가장 강조되었지만 여러 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사진은 숭례문 복구 공사 당시의 현장. 세계일보 자료사진 |
지반의 복구 과정에 대해서도 “고증이나 자문 없이 공사를 진행해 숭례문과 주변 계단 부분이 복구 기준시점인 조선 중·후기 지반보다 최고 145㎝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단청과 지반복원 공사를 부실하게 관리한 복구단장 등 5명에 대해 징계를 요구하고 화학접착제 사용으로 부당이득을 얻은 단청장은 지난 3월 경찰에 수사를 요청했다.
주요 국가 지정문화재에 대한 부실한 관리실태도 드러났다. 경주의 첨성대(국보 31호)는 지반침하로 매년 1㎜ 정도씩 기우는 것이 확인됐으나 적절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독일에서 반환된 ‘겸재 정선 화첩’, 프랑스에서 돌아온 ‘외규장각 도서’ 등 4676점의 문화재를 국가·지방 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에 대해 검토조차 없었던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문화재청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에 실시한 정기 조사, 특별점검에서도 국가지정문화재들이 부실하게 관리되거나 심하게 훼손된 사례가 적발된 바 있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