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는 1952년 12월 미 육군에서 작성돼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고된 문건으로 핵무기 사용 전략 등을 비롯해 중국의 6·25전쟁 개입, 주요 군사작전, 동해상의 한·일 해상경계선 등 15개 분야로 이뤄졌다. 6·25전쟁 기간 핵 사용 여부를 포함한 미군의 전략적 판단이 미국 대통령에게 어떤 형태로 보고됐는지는 지금껏 알려지지 않았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는 16일 “군사편찬연구소에서 파견한 현역 소령이 미 워싱턴 포트맥네어 소재 미 육군군사연구소에 보관돼 있던 ‘아이젠하워 보고서 목록’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 합참과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핵무기 사용을 강력히 건의했으며 휴전협상의 교착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구체적 행동이 필요하고 북진 통일이 어렵다면 최소한 휴전선을 ‘원산∼평양선’까지라도 끌어올려야 한다는 논리가 동원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핵무기 사용과 관련해 대통령의 정치적, 상황적 판단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핵무기를 사용했을 때 공산군을 패퇴시키고 전쟁을 끝낼 수 있는지, 유엔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지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서 검토된 핵무기 사용 지역은 한반도가 아닌 구소련과 만주 지역 수십 곳이었다.
보고서 목록에는 1950년 6월과 7월, 한반도에서의 전술핵 사용 여부가 빠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서를 찾아낸 군사편찬연구소 남보람 소령은 “미 육군부가 당시에는 한반도에서의 전술핵 사용이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다는 근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남 소령은 아이젠하워 보고서 발굴과 관련해 “핵무기를 사용했을 때 공산군에게 더 이상 전쟁을 할 수 없도록 강요할 수 있는지, 결국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느냐를 판단한 미국의 공식 문건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미군이 핵무기 사용을 검토한 시점으로 1950년 6월 말(전쟁 발발)과 50년 7월 말(미군 패퇴), 50년 11월(중공군 개입 예상), 51년 4월 초(중공군 대규모 공세), 53년 3월 말(미진한 정전협상과 유엔군의 불필요한 피해 확산) 등을 제시해왔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worldp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