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신뢰사회 도약 프로젝트] 신뢰하는 사회가 잘 살고 행복하다

관련이슈 세계일보 창간 25주년 특집 , 신뢰사회 도약 프로젝트

입력 : 2014-01-28 19:40:41 수정 : 2014-03-27 11:28:3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배려하고 존중하는 사회… ‘가장 행복한 나라’의 비결 노르웨이와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에서는 길거리에서 자물쇠를 채우지 않은 채 서 있는 자전거를 보는 게 어렵지 않다. 아기를 태운 유모차를 바깥에 두고 마음 편하게 쇼핑을 하거나 커피를 마시는 엄마들도 흔히 만날 수 있다. 집에서 간식을 챙겨간 어린이집 아이들은 먹을 때는 함께 나눠 먹는다. 남이 자기를 해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서로 신뢰를 쌓고 배려하며 존중하는 가운데 차곡차곡 쌓인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그 사회의 무한한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 사회적 자본이 풍부한 사회일수록 교육·보건·치안·평등의 수준이 높고, 거래의 안전이 보장돼 생산성도 향상된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통합의 바탕이기도 하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신뢰도가 높을수록 경제적으로 번영

지난해 초 미국경제학회 연례총회에서 폴 잭 클레어몬트대학원 교수(경제학)는 ‘신뢰의 신경경제학’이라는 기조연설을 했다. 그는 신뢰도가 높은 사회가 경제적 번영을 누리고 신뢰도가 낮을수록 가난하다는 사실을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을 통해 설명했다.

연구팀은 서로 알지 못하는 두 사람에게 10달러씩 준 후 한 사람이 받은 돈의 일부를 상대방에게 주면 그 돈이 3배가 되는 규칙을 적용했다. 실험 결과 참가자의 95%가 상대방에게 일정 금액의 돈을 돌려줬다. 타인과 따뜻하게 정서적으로 교감할 때 분비되는 옥시토신의 분비량도 많아졌다.

잭 교수는 이 같은 신뢰의 선순환이 기업이나 사회 전체로도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뢰가 많이 형성된 사회일수록 더 활발한 상거래가 일어나고 이는 번영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세계적인 경영컨설턴트인 스티븐 M R 코비 코비링크 월드와이드 대표도 “신뢰가 높은 사회는 그렇지 않은 사회보다 효율성이 186%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그는 저서 ‘신뢰의 속도’에서 “신뢰의 속도만큼 빠른 것은 없고 신뢰의 경제만큼 높은 수익을 가져다주는 것은 없다”고 주장했다.

◆신뢰도가 높을수록 평등하고 행복해

유엔이 전 세계 156개 국가를 상대로 국민의 행복도를 조사해 지난해 발표한 ‘가장 행복한 나라’ 순위에서 덴마크가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노르웨이, 스위스, 네덜란드, 스웨덴 순으로 북유럽 3국이 상위 5개국 중 1·2·5위를 기록했다.

행복도 최상위권 랭크의 비결은 구성원 간의 높은 신뢰다. 유엔의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도움이 필요할 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더 행복하다고 느끼고, 사회적 신뢰가 행복도에서 더욱 중요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의 50% 이상을 세금으로 내는 덴마크의 경우 ‘내가 낸 세금이 새지 않고 나를 위해 쓰일 것’이라는 정부에 대한 강력한 믿음이 있다. 실제로 세금은 ‘의료도 공짜, 교육도 공짜, 연금은 모두에게’라는 시스템을 통해 납세자에게 그대로 돌아간다.

이는 2012년 국제투명성기구 조사 결과 덴마크 국가 청렴지수가 100점 만점에 90점인 것으로 증명된다.

탄탄한 세금을 통한 복지제도와 실업대책, 소득 재분배는 구성원들이 생계에 대한 고민 없이 남과 비교하지 않고 소신대로 살아갈 수 있는 평등한 문화를 뒷받침한다.

◆신뢰도 높은 한국사회가 되려면

우리 사회의 신뢰도가 낮은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법과 질서에 소홀한 국민의식을 지적한다. 여전히 준법정신은 선진국에 비해 낮고 일처리 시 편법과 사적 관계가 우선되는 사회 분위기에 젖어 있다. 결과 지상주의가 만연하고 매사에 남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도 존재한다.

김상욱 성균관대 교수(사회학)는 “사회통합의 가장 중요한 내용인 사회적 자본, 즉 사회 신뢰를 다지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고 아주 기본적인 문제”라면서 “공공질서와 법과 원칙을 잘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서는 우선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는 국가 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생각과 국가와 시민의 관계에서 권리뿐 아니라 의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필요하다”면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극대화하는 정치권의 비정상적인 행태도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윤지희 기자 phh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