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혜택 서민몫 뺏어 가… 경제살리기 무력화
카드 돌려막기 10조… 전체 카드자산의 33% 시중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가산금리를 올린 탓에 2008년 10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약 3년간 대출을 받은 가계와 기업은 20조원 이상의 이자를 더 물어야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금리가 내리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었다.
특히 이로 인해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저금리 정책의 효과는 사라지고, 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때마다 차익을 고스란히 챙기는 결과를 낳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경기를 떠받치기 위해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준금리를 연 5.25%(2008년 8월)에서 2%(2009년 2월)까지 떨어뜨리며 저금리 기조를 유지해 왔다.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였다. 이에 따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도 6.03%(2008년 10월)에서 2.42%(2009년 4월)로 떨어졌다. 그러나 CD 금리에 연동하는 대출금리는 요지부동이었다. 이는 은행이 각종 가산금리를 붙인 결과라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이런 식으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제멋대로 매기면서 금융위기 이전(2003년 1월∼2008년 9월)에 비해 금융위기 이후(2008년 10월∼2011년 12월) 기업은 16조6000억원, 가계는 3조8000억원의 이자를 더 떠안아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산금리를 덧붙여 늘어난 이자부담액 20조4000억원은 같은 기간 국내 은행의 이자수익 206조3000억원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감사원은 또 이른바 ‘카드 돌려막기’에 이용되는 잠재부실 카드 대출이 10조원을 넘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말 2개 이상의 카드로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을 이용하는 저신용자는 각각 91만4000명, 61만6000명으로 대출액은 8조6000억원에 이르렀다. 이용 한도의 80% 이상을 소진한 돌려막기(리볼빙)로 판단되는 이용액은 1조4000억원으로, 전체 카드사의 리볼빙 대출금이 6조100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약 2조원이 잠재부실 자산으로 추정된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감사원은 이처럼 잠재부실 위험이 높은 대출성 카드자산 규모가 10조6000억원으로 총 대출성 카드자산 32조1000억원의 33%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