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상환능력 갈수록 약화
노후자금 유지 적극적 방법 찾아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체 가구의 평균 부채액은 지난해 2월 말보다 12.7% 늘었고, 이 가운데 금융부채는 14.2% 증가했다. 이에 비해 가구당 평균자산은 같은 기간 7.5%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계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보면 가계의 재정악화가 더욱 뚜렷해진다. 같은 기간 가계 가처분소득은 7.7%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원리금상환액은 22.7%나 늘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총부채 비중은 151.6%에서 158.5%로 확대됐다. 이런 상황에서는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해 부은 적금, 보험 등을 깨는 경향이 강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최문박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급격히 자산을 불릴 기회가 사라진 데다 은퇴 후 재취업에 성공해도 고용의 질이 매우 낮아 삶이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면서 “마지막까지 묻어두려 했던 적금과 보험 등을 깨는 일이 앞으로도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필상 고려대 경영대 교수는 “현재 50∼60대는 적금, 보험 등을 다 까먹어도 뚜렷한 대책이 없다는 게 문제”라며 “향후 경제·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노후 대비 상품을 무조건 깨기보다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라고 권한다. 어쩔 수 없이 중도해지하더라도 상품 약관을 꼼꼼히 읽어보고 손실을 줄여야 한다.
박은주 소비자금융연맹 실장은 “보험은 보장이 목적이라 중도에 해약하면 원금 손실이 불가피하다”며 “보험금 납입기간 도중에 보험을 해지하면 손실액이 더 커질 수 있으니 보험금 납입기간과 보장기간, 약관 등을 잘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안진걸 참여연대 팀장은 “노후자금 부족은 교육비, 의료비, 주거비 부담과 물가상승 등이 겹치면서 발생하는 문제”라며 “중년층이 안전하게 노후를 설계할 수 있도록 복지지원 증액, 사회안전망 구축, 국민·기초노령연금 현실화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아람 기자 arb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