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DMZ…정부 “막개발 막아야” vs 주민 “지역경제 타격”

입력 : 2011-09-22 03:56:48 수정 : 2011-09-22 03:56:48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민통선내 DMZ 지역 가보니… 정부가 유네스코에 ‘비무장지대(DMZ)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신청하기로 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개발 대 보전’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DMZ 자연생태계를 온전히 보전해 미래 관광자원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주장과 지역경제를 위해 개발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부가 민간인 통제소 내 관광화를 위해 펼친 정책들은 홍보·의지 부족으로 그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DMZ의 가치를 높이면서도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건물만 덩그러니 20일 강원 고성군 현내면 민간인통제선 내 DMZ박물관의 모습. 박물관을 찾는 사람이 거의 없이 건물만 덩그러니 서 있다.
◆현장 가보니… 민통선 내 박물관은 발길 끊겨

20일 찾은 강원 고성군 현내면 민통선 내 DMZ박물관. 전시관과 영상관, 다목적센터로 이뤄진 지상 3층 규모의 박물관 메인 센터는 적막감이 감돌았다. 관광객 10여 명만이 14만5396㎡ 부지의 박물관을 살펴보고 있었다. 넓은 주차장은 직원 차량 등 6대를 제외하고는 텅 비어 있었다. 강원도가 반대를 무릅쓰고 안보관광 명소로 발전시킨다며 내세운 명목이 무색할 지경이었다.

도는 또 사업 추진 당시 하루평균 관광객 1만여 명이 찾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날 찾은 관광객은 겨우 20여 명. 2009년 4월 개관 이후 올 2월까지 관람객도 17만1000여 명에 그쳤다. 하루평균 420여 명이박물관을 찾은 셈이다. 이마저도 수학여행과 현장학습 등을 위한 학생 단체 입장이 많아 개인 관광객은 찾아보기 힘들다.

관람객 황모(40·여)씨는 “출입이 제한돼 이용도가 떨어지는 민통선 지역에 대규모 시설을 만드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이다”며 “휑하니 비어 있는 박물관을 보니 세금이 낭비된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올 5월 준공 예정이었던 철원 평화문화광장도 미완성 상태로 방치돼 있다.

도는 240억여 원을 들여 철원군 동송읍 강산·중강리 일대 21만6595㎡에 광장(3만8853㎡), DMZ 평화관(1개 동), 주차장(2만4964㎡), 조경시설 등을 조성하고 있다. 도는 이 지역을 통일 기원 문화·체육 행사 및 DMZ 관련 각종 세미나 개최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주민 강모(50)씨는 “평화문화광장을 만들더라도 군부대의 동의 없이 민통선 내에서 문화·체육행사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곳이 제 기능을 할지는 회의적”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까다롭고 생소한 출입절차도 관광객들을 끌어들이지 못하는 요인이다.

DMZ박물관과 철원 평화문화광장은 민통선 안에 있어 미리 출입허가증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DMZ박물관 출입증을 받는 곳은 민통선에서 4.5㎞나 떨어져 있다. 이를 모르는 관람객들은 민통선까지 왔다가 출입증을 받으러 왔던 길을 되돌아가야 한다. 박물관을 견학하기 위한 절차가 제대로 안내되지 못한 탓이다.

◆‘개발’이냐 ‘보전’이냐… 여전한 논란

정부는 세계적으로 드물게 60여 년 동안 원형 그대로인 DMZ를 보전하자는 입장이다.

강원발전연구원은 최근 연구보고서에서 “세계 유일의 분단 현장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DMZ를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해 우수 생태계를 미래 관광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2012년까지 DMZ 일대에 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고 그 해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마무리하자는 구체적인 일정표까지 내놨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은 그동안 충분히 개발 제한을 받아왔다며 ‘생물권보전지역’으로 확정되면 지역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철원군 의회는 지난 5월 “관광자원이 되기보다는 또 다른 규제로 작용할 것이 분명한 DMZ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선정을 반대한다”며 “자연환경 보전이라는 대명제만이 강조되면서 지역개발에 족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특히 민통선 지역은 지금도 군사시설보호법 등 각종 법으로 보호받고 있어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이 큰 의미가 없다는 게 지역의회의 주장이다. 군의회는 이미 청사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선정 반대입장을 밝힌 현수막을 내걸고, 후속대책을 준비 중이다.

고성·철원=조민중·서지희 기자 inthepeopl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