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매일 필터 분석… 북핵실험때보다 비상”

관련이슈 일본 원전 방사능 공포

입력 : 2011-03-29 22:44:06 수정 : 2011-03-29 22:44:0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권 유일’ 한양대 방사능 측정소 가보니 “이제는 그야말로 비상상황이죠.”

29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내 방사능측정소. 전날 이곳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누출되고 있는 방사성 요오드(I-131)가 검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안미정(37) 연구원 홀로 근무하는 사무실 전화기가 쉴 새 없이 울려댔다. 안 연구원은 “어제 오전 10시에 채취한 시료에서 요오드가 검출됐다”며 “평소엔 한 달치 필터를 한꺼번에 검사하는데, 이제는 비상감시 체계로 들어가 매일 분석하게 됐다”고 말했다.

◇서울과 부산 등 전국 12곳에서 일본 원전 방사성물질이 검출된 29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에 설치된 서울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연구원들이 대기 중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있다.
송원영 기자
이곳은 전국에 설치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산하 방사능측정소 12곳 가운데 서울 지역에서는 유일하다. 서울과 경기북부 지역의 대기 중 부유물과 낙진, 빗물 등에 방사성물질이 섞여 있는지를 탐지한다. 매일 오전 10시 옥상에서 채집 필터를 교체하고 채집된 시료를 계측한다. 옥상에 설치한 감마필터는 48시간 채집 후 수거한 뒤 매달 한 달치 필터 15장을 모아 검사한다. 그러나 일본 대지진 이후 분석주기는 한 달에서 일주일로 짧아졌다. 강원 고성에서 제논이 검출된 다음날인 28일에는 닷새치를 모아 분석했다.

대기 부유진에서 요오드가 검출된 것은 이곳에서 14년째 근무 중인 안 연구원도 처음 겪는 일이다. 그는 “북핵 실험 때도 한 달 정도 비상이었는데 지금은 더하다”고 말했다.

KINS는 이곳 외에 춘천(강원대)과 대전(충남대), 군산(군산대), 광주(전남대), 대구(경북대), 부산(부경대), 제주(제주대), 강릉(강릉대), 안동(안동대), 수원(경희대), 청주(청주대) 등에 방사능측정소를 두고 ‘전국 환경방사능 감시망’을 운용하고 있다.

이태영·김유나 기자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