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폭발사고 시 세슘, 스트론튬 등 방사능 물질과 함께 요오드-131이 다량 배출되는데, 이 물질이 인체에 들어가면 신진 에너지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샘에 농축된다. 요오드-131 피해를 줄이려면 비방사성 요오드 화합물(요오드제)을 섭취해 더 이상 갑상샘에 농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요오드화칼륨이나 요오드나트륨(NaI), 요오드화칼륨(KI), 요오드산칼륨(KIO) 등이 그것이다.
요오드-131에 노출된 상태에서 요오드제를 섭취하면 20% 안팎이 갑상샘에 남고 나머지는 전신으로 퍼져 빠르게 소변으로 배출된다. 성인 기준으로 하루 100㎎의 요오드화칼륨을 1회 복용하면 요오드-131의 90% 이상이 갑상선에 도달하기 전에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여 시기는 방사능 피폭 24시간 전후가 가장 바람직하다. 특이 체질이면 드물게 요오드제 섭취 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김채연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