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용 악성코드인 ’트레드다이얼’은 지난 13일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고, 최근에는 변종도 나타났다.
           현재까지 확인된 번호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퀴즈쇼, 투표 등에 사용되는 6개로 ’1767******1’, ’252*******1’, ’882******7’, ’882*******4’ 등이며, 분 단위로 과금된다.
안철수연구소 측은 휴대전화 통화 목록에 이와 같은 번호가 있거나 자동으로 국제전화가 발신될 경우 악성코드 감염을 의심하고, 평소 국제전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발신 금지 기능을 설정해둬야 한다고 당부했다.
스마트폰이 이 악성코드에 감염됐을 때는 안철수연구소의 전용 백신을 내려받아치료하면 된다.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조시행 상무는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뒤 실행 전에 악성코드를 검사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온라인뉴스부 bodo@segye.com, 팀블로그 http://net.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