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덕찬 육군 공보파견대장(대령)은 24일 브리핑에서 "사고 당일 GP장(소위) 판단 하에 경계 초소를 3개에서 1개로 축소 운용했다"며 "이는 8∼11월 진행된 GP시설 개선공사에 따른 소대원들의 피로도를 고려한 조치"라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이에 언급, "원래 3개 초소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7명이 경계근무를 서야 하는데 사고 당시에는 GP장의 판단에 따라 2명이 경계근무를 선 것으로 안다"면서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급부대 보고 후 승인받고 근무를 조정하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강 대령은 "애초 근무편성표에는 10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돼 있어 사고 당시 17명이 잠을 자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며 "조사과정에서 사고 당시 생활관에 취침 중인 인원은 22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사고 발생 당시 근무 인원은 GP장과 부GP장(하사)을 포함해 모두 8명"이라며 "병사들은 상황실에 3명, 외곽초소에 2명, 취사실에 1명 등 모두 6명이 근무했다"고 전했다.
강 대령은 수사 상황과 관련, "제3자가 투척했을 가능성, 개인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했을 가능성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하고 있다"며 "수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군 관계자는 "취침 시간에 사고가 나 목격자가 없으며 부상자들의 진술만으로는 진상을 조기에 규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사고 GP 내무반 출입문 쪽 벽에 KG14 세열수류탄 폭발 탓으로 추정되는 둥글게 파인 자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수류탄이 문틈에 끼였다가 폭발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군 소식통은 전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