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연성은 충분하다. 선거인단수보다 투표수가 더 많은 투표소가 7곳 발견된 것도, 온라인 투표 내용을 알 수 있는 ‘소스코드’를 당 간부가 세 차례 열람한 의혹도 모두 부정투표의 징후다. 전과도 있다. 총선 당시 야권단일화 과정에서 드러난 이정희 공동대표 측의 여론조작 사건이다. 시사평론가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당시 “조직문화”라고 지적했다. 늘 그런 식으로 해왔다는 폭로였다. “민주노동당 시절에도 비슷한 일이 계속 있었다”고 했다.
일련의 흐름은 통합진보당 내의 ‘닥치고 권력’ 행태가 일회적이거나 우발적인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진 교수의 지적처럼 아주 오래전부터 몸에 밴 조직문화일 가능성이 크다. 권력 장악을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은 레닌·스탈린 시대의 망령이 춤추는 국면이다. 당권파 체질이 실제로 그렇다면 여간 걱정스러운 일이 아니다. 국고 지원을 받는 민주주의 체제 정당 자격이 의문시되는 탓이다.
통합진보당은 총선에서 13석을 확보, 제3당 지위를 얻은 대한민국의 공당이다. 당의 인터넷 홈페이지엔 “선명한 진보야당으로서 새 정치의 희망을 열어가겠다”는 문구가 선명하다. 반칙과 조작을 일삼는 것이 선명한 진보정치인가. 그러고도 새 정치의 희망을 말할 수 있는가. 가슴에 손을 얹고 자문하기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