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온난화 가속… 금세기말 서울 ‘여름이 반년’

입력 : 2013-03-31 23:34:19 수정 : 2013-03-31 23:34:1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상청 기후변화 보고서
온실가스 증가로 기온 상승
2091∼2100년 175일 전망
온실가스를 현재 추세대로 계속 배출하면 이번 세기 말 서울에서 일년의 절반은 여름이 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31일 기상청의 ‘기후변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특별한 온실가스 저감정책이 없는 경우(RCP 8.5)를 가정해 예측한 결과 2091∼2100년 서울의 여름 일수는 연평균 174.9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2001∼2010년 평균) 121.8일보다 2개월 가까이 긴 것이다. 여름은 최고기온이 25도 이상인 날을 말한다.

자치구별로는 동대문구의 여름이 180.6일로 가장 길게 예측됐다. 여름이 가장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관악구도 168.1일로 지금보다 59일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폭염과 열대야를 겪는 날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는 현재 11.1일에서 83.4일로, 1일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 일수는 8.2일에서 81.9일로 크게 늘 것으로 분석됐다.

폭염이 가장 기승을 부릴 곳 역시 동대문구로 최고기온이 한 해 평균 92.9일이나 될 것으로 예측됐다. 열대야는 영등포구(93.2일)에서 가장 잦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여름철 빈번한 극한기상이 예상되는 이유는 온실가스가 늘어남에 따라 기온상승 속도가 매우 빨라지기 때문이다. 세기 말 서울의 평균기온은 현재 13.0도보다 5.5도 높은 18.5도로 예상된다. 이런 온난화 속도는 지난 100년간 세계 평균기온이 0.75도, 한반도는 1.8도 오른 데 비하면 3∼7배 빠른 것이다.

윤지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