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60%·日50%보다 높아
“내 나라 사는데 만족한다”…韓66%·美92%·日87%

16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일본·중국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4개국 고교생 8017명(한국 2292명, 미국 1032명, 일본 2458명, 중국 22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교생 진로 및 유학 의식’ 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 고교생의 82.3%가 고교 또는 대학 시절에 해외로 유학하기를 희망했다. 반면 중국은 60.8%, 미국은 55.9%, 일본은 51.4%였다. 고교 시절에 해외 유학을 가고 싶다는 응답자도 한국이 24%로 가장 많았다.
해외 유학을 원하는 이유로 4개국 학생들은 대체로 ‘견문을 넓히려고’, ‘어학능력을 키우려고’ 등을 꼽았다. ‘견문 확대’는 일본 19.8%, 한국 15.8%, 중국 15.6%, 미국 12.5% 순이었다. ‘어학능력 향상’은 일본 19.9%, 한국 15.4%, 미국 12.4%, 중 12.0%였다.
하지만 한국은 국내 대학 진학의 어려움 때문에 해외 유학을 가고 싶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학) 진학경쟁이 심해서’, ‘진학하고 싶지 않아’ ‘진학에 도움이 돼서’ 등을 꼽은 응답자는 한국 11.7%, 중국 9.4%, 미국 6.4%, 일본 1.9%였다.
고교 생활 만족도 역시 한국이 가장 낮았다. ‘학교생활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응답은 한국이 21.2%였고, 일본과 미국, 중국은 각각 21.1%, 17.9%, 9.7%였다.
한국 고교생은 국가에 대한 만족도도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에서 사는 것에 만족한다’는 답변은 한국이 66%에 그친 데 비해 미국 92%, 일본 87.8%, 중국 75.3%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자랑스럽다’는 응답 또한 74.5%로 중국(90.2%), 미국(89.2%), 일본(75.0%)에 뒤졌다.
유학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우리나라가 더 살기 좋기 때문’이라고 답한 학생은 미국과 일본, 중국이 각각 13.5%, 17.2%, 11.3%였지만 한국은 7.1%에 그쳤다. 한국 학생에게는 ‘언어 장벽이 있어서’(15.6%), ‘외국 생활에 적응하기 힘들어서’(13.0%) 등이 유학을 꺼리는 주된 이유였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