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추석 차례상 덮친 기후위기… 굴비·김값 30% ‘껑충’

입력 : 2024-09-06 06:00:00 수정 : 2024-09-06 08:23:24
세종·고흥=안용성·김선덕 기자, 이예림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상고온에 바닷물 뜨거워진 여파
어군 장소·시기 변화에 어획량 감소
강도다리·광어 등 양식장 폐사 속출
배추 작황 부진 등 농산물도 피해

전남 고흥군에서 육상 양식업을 하는 이임천(63)씨는 요즘 한숨이 많이 늘었다. ‘대목’인 추석 연휴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내다 팔 고기가 없어서다. 득량만과 여자만 해역 20여개 수조에서 강도다리와 광어 등을 키우는 이씨는 지난 7월 말부터 고수온이 본격화하면서 3분의 2가량을 잃었다. 그는 “떨어져야 할 바다 수온이 오히려 지난달보다 3~4도 가까이 오르면서 그나마 남아있는 물고기마저 폐사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5일 오후 서울 한 시장에서 판매 중인 굴비. 연합뉴스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을 동반했던 기후변화가 추석 차례상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상 고온으로 바닷물이 뜨거워져 어획량이 줄어든 탓에 참조기와 굴비 등 차례상에 올라가는 수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30%가량 급등했다. 양식장에선 폐사 사태가 이어져 폭등을 부추긴다. 농산물도 피해가 크다. 서늘한 날씨에 잘 자라는 배추는 올여름 폭염 피해로 갈아엎은 밭이 허다하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참조기(냉동) 1마리 소매가는 지난 4일 기준 1754원으로 1년 전보다 30.1% 높다. 조기를 소금에 절여 해풍에 말린 굴비 1마리는 2763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평년 가격(최대·최소를 뺀 지난 3년 평균치)보다 37.1% 높게 팔리는 중이다. 기후변화로 어군 형성 장소나 시기가 바뀌는 바람에 어민들은 조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조기 어획량은 2020년 4만1000t에서 2021년 3만1600t, 2022년 1만6400t, 지난해 1만5100t 등 감소 추세다.

 

추석 선물로 인기인 김도 연초 장당 100원을 밑돌던 소매가가 전날 135원으로 올랐다. 작년 동기보다 38.0%, 평년보다 49.1% 각각 올랐다. 김 양식의 시작 단계인 채묘(김의 씨를 그물에 붙이는 작업) 시기가 고수온으로 늦어지면서 생산 차질이 빚어진 여파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여름 배추는 장마 후 폭염에 따른 무름병 발생으로 출하량이 감소해 1포기에 7000원(소매 기준)을 넘기는 등 급등했다.

 

실제로 올여름 한반도는 역대 가장 더웠다. 평균기온과 열대야 일수 모두 기상 관측 이래 최고치였다. 기상청이 이날 발표한 ‘2024년 여름철 기후특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6∼8월 평균기온은 25.6도로 1973년 기상 관측 시작 후 가장 높았다. 열대야 일수 20.2일로 역대 가장 길었다. 해수면 온도는 23.9도로 최근 10년 중 가장 높았고, 10년 평균보다 1.1도 높았다. 뜨거워진 바다는 찜통더위를 초래한 요인 중 하나였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수산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을 추진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기로 했고, 해양수산부는 어족 변화 등에 따른 수산업 종합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오피니언

포토

54세 고현정, 여대생 미모…압도적 청순미
  • 54세 고현정, 여대생 미모…압도적 청순미
  • 하지원 '수줍은 손하트'
  • 전종서 '순백의 여신'
  •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