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가세 아끼는 ‘금 직거래’ 최대… 은행들은 연말 대출 ‘셧다운’ [한강로 경제브리핑]

입력 : 2025-11-24 07:00:00 수정 : 2025-11-23 19:41:30
이종민 기자 jngm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금값이 지난달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제도권 거래뿐 아니라 개인 간 ‘금 직거래’도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금융기관 등에서 거래할 때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부담을 덜고 시세보다 저렴하게 거래하고자 직거래에 나선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진=AFP연합뉴스

◆금값 늘자 플랫폼 거래 최대치

 

24일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금 직거래 플랫폼 ‘금방금방’ 거래 규모는 지난 10월 한 달간 830억원을 기록하며 2021년 서비스 시작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 금 품귀 현상이 심했던 지난 2월(624억원)보다도 많았다. 

 

송종길 한국금거래소 총괄사장은 “평소 월 180억∼220억원 정도가 움직인 것과 비교하면 거의 4배나 늘었다”며 “(골드바 구매 시 발생하는) 부가세 부담은 줄이고, 조금이라도 비싸게 팔고 싸게 사려는 고객들이 직거래 플랫폼으로 오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제도권 금 거래량도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현물 1㎏ 기준 월별 거래액은 지난 2월 1조6183억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5월 5704억원까지 떨어졌으나, 금값이 급등하기 시작한 지난 9월(3조24억원)과 10월(5조4456억원) 연달아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는 사업자·기관 등을 합친 전체 금 시장 거래량이다. 

 

이 시기 개인투자자 거래량도 급등했다. KRX 금시장에서 개인투자자 거래량은 지난 2월 1263.8㎏까지 올랐다가 3월 502.1㎏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금값이 오르기 시작하며 지난 9월 1213.8㎏, 10월 2508.5㎏으로 급증했다. 

 

한국금거래소 디지털에셋이 운영하는 금방금방은 구매자·판매자를 매칭시켜주는 플랫폼으로 한국금거래소가 수수료를 받고 감정 및 매매 과정을 대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사설 금 거래 플랫폼이나 당근 등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도 직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통상 오프라인 시세보다 소폭 낮은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지며, 부가가치세(10%) 부담을 덜 수 있는 점이 금 직거래의 이점으로 꼽힌다. 

 

다만 당근 등은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100만원 이상의 금 제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최근 금 제품을 직거래로 건네받은 뒤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통해 대금을 이체하게 하는 3자 사기 등의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서다. 지난 7월 경기 이천에서 금 직거래를 하던 중 거래자가 판매자로부터 4억원 상당의 금을 빼앗아 도주하는 등 범죄 우려도 소비자들이 금 전문 플랫폼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다. 

 

국제 금값은 지난달 중순 사상 최초로 온스당 4300달러선을 돌파했고 국내 시세도 덩달아 급등했다. 이후 금값이 ‘오를 대로 올랐다’고 본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 약화 등의 영향을 받아 금값은 하락했다. 이달 중순 이후 국제 금값은 온스당 4000달러 초반∼4100달러에서 거래되는 추세다. 다만 금값이 3300∼3400달러였던 지난 7∼8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송 총괄사장은 “금값이 단기 조정기에 접어들며 숨 고르기 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주에 일시적으로 금값이 다시 한 번 상승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환율이 급등한 영향과 맞물려 고점에 근접하는 상승 흐름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앙은행들이 갈수록 금을 많이 매수하고 있고, 이를 한꺼번에 매도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탈(脫)달러화 움직임이 강해질수록 금값은 우상향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증권가에서는 과열 우려가 제기됨에도 금에 대한 구조적 수요가 유지되면서 내년 금값이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금값 하락이 일시적인 조정일 뿐이라는 의견을 내놓으면서 2026년 말까지 온스당 4900달러를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중은행 다수 한도 소진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미 연간 목표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한도가 조기에 소진돼 연말 대출 창구가 얼어붙을 뿐 아니라 내년 초까지도 대출 문턱이 쉽게 낮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올해 가계대출(정책대출 제외) 증가액이 20일 기준 7조8953억원으로 집계됐다. 당초 이들 은행이 금융당국에 제출한 연간 목표치 5조9493억원을 32.7% 초과한 수치다. 이들 은행별 목표 초과율은 9.3%에서 59.3%에 달한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 하반기 목표치를 연초 계획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일 것을 주문했다. 하지만 10·15 부동산 대책 이전 늘어난 주택 거래가 시차를 두고 실행됐고, 투자 목적의 신용대출 수요가 늘어난 탓에 은행들이 총량 관리에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5대 은행 중 NH농협은행만 유일하게 가계대출 증가액(1조8000억원)이 목표(2조1200억원)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

 

연말까지 가계대출 관리 목표를 지키지 못한 은행은 내년도 대출 한도가 축소되는 불이익을 받는다. 정부는 내년도 가계대출 증가율을 올해와 마찬가지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범위 내에서 묶는 고강도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이에 은행들은 대출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다.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받지 않는 KB국민은행은 24일부터 영업점에서도 주택구입자금 대출을 제한한다. 하나은행도 25일부터 주담대·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중단한다. 상호금융에서도 수협과 신협이 각각 13일과 20일부터 비조합원 대상 가계대출을 막고 대출 총량 관리에 들어갔다.

 

그럼에도 가계빚 증가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5대 은행의 11월 가계대출 잔액은 20일 기준 769조2738억원으로 이달 들어서만 2조6519억원 늘었다. 10월 전체 증가폭(2조5270억원)을 넘어섰고, 하루 평균 증가액(1326억원)은 7월 이후 가장 많았다.

 

올해 서울 집값이 급등하면서 주담대의 ‘서울 쏠림’이 심화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김현열 연구위원이 낸 주담대 현황 보고서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서울 평균 주담대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다. 다른 지역 증가율(5.2∼6.5%)의 약 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서울에서 새로 대출받은 차주들의 대출액이 타지역보다 많이 증가한 것이다.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일리 '반가운 손인사'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