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처럼 ‘품질’ 끝까지 지키겠다 약속도
론칭 브랜드 달걀의 난각번호 논란에 방송인 이경실씨가 직접 입장을 밝혔다.
이경실씨는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양질의 달걀을 만든다는 자부심에 소비자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적었다. 이어 “‘우아란’의 품질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어떠한 달걀보다 월등히 좋다”며 “가격에 걸맞은 가치를 갖추려 노력하고 연구했다”고 덧붙였다.
논란은 해당 달걀 제품의 난각번호 마지막 숫자가 ‘기존 케이지’를 의미하는 4인 데서 시작했다. 30구 한 판에 1만5000원인 판매가는 난각번호 마지막 숫자 1~2인 제품에서나 볼 수 있으며, 4인 제품의 가격이 이와 유사한 수준인 것을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겠냐는 지적이 나왔다. 닭의 사육환경을 나타내는 마지막 숫자는 △1번 방사사육 △2번 평사 △3번 개선 케이지 △4번 기존 케이지로 구분한다.
이러한 지적에 브랜드 측은 난각번호만으로 달걀의 품질을 단정하기는 부정확하다며, HACCP, 무살충제, 무항생제, 무농약 그리고 무의약품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특히 동물복지란의 가격에 대해서는 “좋은 환경과 동물에 대한 존중에 매겨지는 것”이라며 “더 좋은 품질 때문이 아니다”라는 설명을 덧붙이기도 했다.
이씨의 입장문에서는 “우아란의 판매 가격 기준은 난각번호가 아닌 HU(호우유니트)라는 품질 단위”라는 설명도 눈에 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1등급 기준 ‘72HU’보다 높은 105.9HU를 보인다면서다. 그는 “난각번호에 새겨진 사육환경은 달걀의 품질 등급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4번 농장이 1·2번 농장의 환경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최고의 품질과 신선도 유지를 위해 강황과 동충하초 등을 사료로 쓴다며, 농장 위생관리 등을 위한 비용이 많이 투입된다는 설명도 더했다.
사육환경이 품질의 기준인 소비자의 시각과 원료와 관리 방법이 품질 판단의 기준인 ‘우아란’의 시각 차이에서 이번 문제가 발생했다는 게 이씨의 생각이기도 하다. 그는 “이번 일을 계기로 소비자는 난각번호로 좋은 계란과 나쁜 계란을 생각한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면서, 가족이 먹는다는 생각으로 품질만큼은 끝까지 초심처럼 지켜내겠다고 약속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족 문제 제기는 절제 있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423.jpg
)
![[세계타워] 사법행정위 신설 ‘눈 가리고 아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80.jpg
)
![[세계포럼] 트럼프가 尹보다 나은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20/128/20250820516925.jpg
)
![[김상훈의 제5영역] ‘데이터 노동’의 대가는 왜 없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29.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