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투트랙’ KT 해킹 수사…판교·방배사옥 압수수색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1-19 18:05:29 수정 : 2025-11-19 18:05:28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경찰, KT 서버 폐기 의혹 관련 판교 정보보안실 등 강제수사
조사 방해 의혹 정보보안실장 형사 입건…방배 사옥도 집행
‘소액결제’ 수사도 병행…불법 통신장비 2차 검증, 상선 추적

KT가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서버를 폐기해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19일 KT 판교·방배 사옥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KT가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고의로 서버를 폐기한 정황이 있는지를 가려내기 위해서다.

서울 광화문 KT 본사. 연합뉴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이날 오전 수사관 20여명을 동원해 이들 사옥 내 사무실에 대해 강제수사를 벌였다. 압수수색은 오후 5시를 훌쩍 넘긴 시간까지 이어졌다.   

 

KT 판교 사옥에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의혹을 풀 열쇠인 정보보안실이 있다. 경찰은 정보보안실 압수수색을 통해 KT가 해킹 사고를 언제 인지했는지, 이후 조처를 어떻게 했는지 등에 관해 확인할 방침이다. 앞서 경찰은 정보보안실 총괄자라고 할 수 있는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KT 방배 사옥은 인증서 유출 등 해킹 의혹이 나온 원격상담시스템이 구축돼 있던 곳이다. 경찰은 해킹 의혹 제기 후 KT가 원격상담시스템 구형 서버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폐기한 과정 전반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경찰은 확보한 압수물 분석을 통해 이른 시일 안에 사실관계를 파악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미국 보안전문 매체 프랙은 지난 8월8일자 보고서에서 중국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KT의 고객 원격 점검용 사이트의 인증서 등을 탈취했다는 의혹을 보도했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에 자체 조사 결과 자료를 제출하도록 요청했고, 같은 달 13일 KT는 침해 의혹이 없다는 조사 결과를 발송했다.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지난달 18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열린 KT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 기자회견에서 허리를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이 과정에서 KT가 자료를 폐기할 의도로 서버 종료를 서둘렀다는 의혹과 서버 백업 로그가 있었지만 지난 9월18일까지 민관 합동 조사단에 밝히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일 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KT를 수사 의뢰했다.

 

과기정통부는 KT가 서버 폐기 시점을 8월1일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 같은 달 1일(2대), 6일(4대), 13일(2대) 등 13일까지 3차례에 걸쳐 폐기 작업을 진행하는 등 허위로 답변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남부청 사이버범죄수사과는 이 사건과 별개의 사건인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에 대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해킹 장비에 대한 1차 검증을 마친 데 이어 최근 2차 검증을 마쳤다.

 

경찰은 민관합동조사단으로부터 2차 검증 결과를 회신받는 대로 1차 검증 결과와 대조하며 해킹 양상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KT 소액결제’ 사건 피의자가 범행에 사용됐던 소형 기지국 장비의 설치를 시연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사건을 주도한 상선을 검거하기 위한 수사 역시 이어지고 있다. 경찰은 차량에 불법 통신장비를 싣고 다니며 해킹 피해를 일으킨 A(48)씨와 소액결제 건을 현금화한 B(44)씨 등 중국동포 2명을 지난 9월 구속해 검찰에 넘겼다. 이후 A씨에게 불법 통신장비 부품을 전달한 2명과 자금 세탁책 1명 등 3명을 지난달 추가로 구속 송치했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에 사용됐던 장비 일부는 이미 중국으로 넘어간 상태여서 분석에 다소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두 차례에 걸친 검증 결과를 교차 분석하며 조사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상큼 발랄'
  • 임윤아 '상큼 발랄'
  • 손예진 '완벽한 미모'
  • 김민주 '완벽한 미모'
  • 이주빈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