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명 중 세명 “정부예산 확대를”
이재명정부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발표하며 탈탄소 기조를 가속한 가운데 탄소누출업종인 철강산업 지역 주민들이 탈탄소 전환 의제를 지역 정치 화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리서치가 기후솔루션 의뢰로 경상북도 포항, 전라남도 광양·순천, 충청남도 당진 등 철강벨트 지역 주민 25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철강 산업 탈탄소 인식조사’에 따르면 해당 지역 주민 중 61.7%가 철강산업의 탈탄소 전환을 중요 의제로 다루는 정치인을 지지하겠다고 답했다. 투표 의지도 강했다. 특히 2026년 지방선거 투표에서 ‘반드시 참여하겠다’고 답한 주민 중 68.8%는 ‘탈탄소 의제를 신경쓴다’고 답했다. 탈탄소 전환이 철강벨트 지역경제와 직결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번 설문에서 응답 주민 중 65.3%는 철강산업이 현재 위기라고 답했다. 특히 포항의 경우 응답자 77.8%가 위기를 체감한다고 대답했다. 위기가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도 27.1%로 타 지역의 두 배 수준이었다. 응답자 64.9%가 이로 인해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겪었다고 답했는데, 역시 포항의 응답 비율(80.3%)이 가장 높았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48.9%가 철강산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우려했는데, 광양?순천(57.4%)은 이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주민들은 철강산업 탈탄소화가 지역경제 생존과 직결된다고 봤다. 주민 중 71.3%는 철강의 탈탄소 전환이 지역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비용이 높은 만큼 정부의 역할을 주문했다. 응답자의 65.3%는 수소환원제철(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한 저탄소 제철법) 전환에 찬성했지만, 반대한 이들 중 절반 이상(50.5%)은 비용을 이유로 들었다. 이어 주민 네 명 중 세 명(76.6%)이 정부가 탈탄소 전환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를 촉구했다.
정부는 지난 4일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해 수소환원제철 실증과 청정수소 확보 등을 포함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전략과 로드맵이 없다고 평가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족 문제 제기는 절제 있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423.jpg
)
![[세계타워] 사법행정위 신설 ‘눈 가리고 아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80.jpg
)
![[세계포럼] 트럼프가 尹보다 나은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20/128/20250820516925.jpg
)
![[김상훈의 제5영역] ‘데이터 노동’의 대가는 왜 없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29.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