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당원투표’ 번복 혼선… 鄭, 당심 기댄 강성리더십 시험대

입력 : 2025-11-19 06:00:00 수정 : 2025-11-18 23:46:48
김나현·박유빈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청래, 與대표 110일 ‘자기정치’ 논란

“공천 혁명” 강조했지만 당내 잡음 여전
내부 상의없이 강성층 호소위해 “오버”
이재명정부 외교 등 성과 희석 지적도

2026년 지방선거 겨냥 중도층 확장 과제
물가·집값 등 민생의제로 전환 목소리
지지기반 향한 거친 발언은 이어갈 듯
“당원주권시대를 여는, 당원주권정당으로 가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시작한다.”(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1당원 1투표제’ 도입을 선언한 정 대표가 18일 전국기초·광역의원들을 향해 이같이 말했다. 강성 당원 중심으로 당의 방향이 기울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도 당원 중심의 경선룰 개정을 “공천 혁명”이라며 거듭 강조한 것이다. 당헌·당규 개정 관련 전 당원 투표를 둘러싸고 잡음이 일자 당은 ‘의견조사’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정 대표가 ‘당심’을 겨냥해 밀어붙여 온 강경한 개혁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대표로선 ‘자기 정치’ 논란 속에서 지지 기반을 다져야 하는 고차방정식을 마주한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연합뉴스

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전국기초·광역의회의원협의회 간담회’에서 권리당원 투표 100%로 기초·광역 비례대표를 선출하는 규정을 거론하며 “획기적인 풀뿌리 민주주의, 직접 민주주의 차원에서 공천 혁명”이라고 자평했다. 다만 정 대표는 전날 발표한 ‘1인 1투표제’와 ‘권리당원 100% 예비경선’ 도입 등 관련 전 당원 찬반 투표에 대해 “내일(18일)부터 이틀간 당원 의사를 묻는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투표 자격을 두고 논란이 일자, 당헌·당규 개정 의결을 위한 정식 투표가 아닌 ‘의견조사’ 취지라며 진화에 나선 것이다.

 

박수현 수석대변인과 조승래 사무총장 등이 서둘러 “오해”라고 해명했지만, 당내에선 정 대표가 내년 8월 당대표 연임을 대비해 당심 공략에 집중하며 논란을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이재명정부의 성공이나 국정 안정은 뒷전 같다. 당원 투표의 경우에도 의원들과 상의도 안 하고 논란이 되니 여론조사라고 번복한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당원들에게 호소력이 큰 개혁 노선을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이재명정부의 성과가 가려진다는 지적이다. 이외에도 1인 1투표제를 서둘러 진행했을 때 영남권 등 험지 소외가 심화한다는 당 안팎의 우려도 꾸준하다.

 

정 대표는 지난 8월 취임 후 100일간 당심을 겨냥한 강경한 개혁 노선을 충실히 걸어오고 있다. ‘자기 정치’ 논란을 불식시키고자 새 정부의 성공을 앞세웠지만, 강력한 개혁 의제들을 꺼내 들고 당원을 결집해온 것이 사실이다.

정 대표의 당대표 수락연설문부터 지난 11일 전국지역위원장 워크숍 마무리 발언까지 100여일간 총 80개 회의 및 공개석상 발언을 살펴보면, 정 대표가 가장 빈번하게 언급한 단어는 ‘국민’(684회·국민의힘 110회 제외)이었다. 그 뒤를 ‘이재명’(365회) ‘내란’(337회) ‘정부’(321회)가 이었다. 이재명은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성과를 추켜세우거나 이재명정부 성공을 기원하는 맥락에서 주로 쓰였다. 그리고는 ‘개혁’(263회) ‘당원’(213회) 등 단어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9월로 들어서면서는 ‘내란·계엄’(109회) 언급 빈도가 증가했고, ‘사법’(172회) ‘대법원’(78회) ‘조희대’(68회)가 급증하기도 했다.

 

정 대표의 센 발언은 정 대표가 위치한 당내 역학구조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대표는 당내 의원 지지보다 당원 지지를 등에 업고 민주당 수장 자리에 올랐다. 지난 8월 전당대회에서 정 대표는 맞상대였던 박찬대 후보와의 대결에서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66.48% 대 33.52%로 앞섰지만, 대의원 투표에서는 46.91%대 53.09%로 뒤졌다. 박창환 장안대 특임교수(정치학)는 이런 상황을 정 대표가 당내 ‘지분’이 없다고 표현했다. 박 교수는 “정 대표는 당내 조직, 계파가 약한 당대표 중 하나”라며 “정 대표 말이 무게를 가지려면 당연히 당원이 요구하는 것에 충성해야 명분이 선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정 대표가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을 연내 완수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당심을 겨냥한 강경한 개혁 노선을 내년 초까지 유지하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 대통령은 현재 국정이 중요하고 정 대표는 지선과 다음 대선이 중요해 서로 포지셔닝이 다르다”며 “정 대표는 강성 지지층이 좋아하는 개혁 발언을 이 대통령보다 세게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당심을 겨냥한 개혁 의제보다는 중도층을 끌어안기 위한 민생 의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수도권 초선 의원은 “내란·계엄 이야기가 더 이상 호소력이 없다”며 “물가·집값 안정, 청년 일자리 등 민생 문제로 빠르게 전환해 지방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상큼 발랄'
  • 임윤아 '상큼 발랄'
  • 손예진 '완벽한 미모'
  • 김민주 '완벽한 미모'
  • 이주빈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