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소비자들의 금융이해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미달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전국의 만 19∼69세 남녀 2500명에게 OECD의 ‘디지털 금융 이해력’ 조사 문항을 풀게 한 결과 전체 평균 점수가 100점 만점에 59.3점으로, OECD의 최저 목표치인 70점보다 낮았다고 18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 7월31일∼8월17일 진행됐다.
연령별 점수를 보면 20대가 평균 54.2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들은 특히 개인정보에 대한 경계심이 부족하고 암호화폐의 합법성 여부 등 세부 금융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50대가 평균 60.9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고, 40대(60.8점), 60대(60.5점) 등 순이었다.
금융소비자보호재단 관계자는 “디지털 금융이 대거 보편화한 상황에도 정작 기본적 이해력이 부족해 연령 등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족 문제 제기는 절제 있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423.jpg
)
![[세계타워] 사법행정위 신설 ‘눈 가리고 아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80.jpg
)
![[세계포럼] 트럼프가 尹보다 나은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20/128/20250820516925.jpg
)
![[김상훈의 제5영역] ‘데이터 노동’의 대가는 왜 없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29.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