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부터 1GWh 규모 공급
산업자립·공공입찰 시너지 기대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LFP(리튬 인산철) 배터리 양산 계획을 공식화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갖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올 연말부터 생산라인 구축 작업을 시작해 2027년부터 1기가와트시(1GWh) 규모의 LFP 공급에 나선다.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에너지솔루션의 모든 제품 개발과 기술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마더 팩토리’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곳을 중심으로 LFP라인 구축을 통해 국내 ESS 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ESS용 LFP 배터리 양산 비법을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이식하고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업체들과 LFP 소재·기술 등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기업들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지난 6월부터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 등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ESS 시장의 90% 이상이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돼 있다. LFP 배터리는 삼원계 배터리보다 원가 경쟁력이 높고, 발화 가능성 및 화재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아 ESS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제품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열 폭주화재 확산 시험을 평가하는 글로벌 안전 기준을 충족하고 대형 화재 모의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한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국산 기술, 국내 공급망, 그리고 공공시장 참여라는 3축의 시너지를 통해 국내 ESS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지역의사제, 성분명 처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28.jpg
)
![[데스크의 눈] 검찰 흑역사에 추가된 ‘항소 포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02.jpg
)
![[오늘의 시선] 최고의 환율 진정제는 경제 체질 개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7963.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에밀리 디킨슨을 읽다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798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