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야당 국민의힘의 지지율 추락이 ‘날개 잃은 새’를 보는 듯하다. 엊그제 발표된 한국갤럽의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24%로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무당층(27%)보다 낮았다. 원내 2당 지위가 무색할 정도다. 지난 6월 대선 당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득표율(41%)과의 차이는 더 크다. 대선 참패 후에도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전 대통령과 과감히 단절하고 뼈를 깎는 각오로 쇄신하기는커녕 친윤(친윤석열)이냐, 비윤(비윤석열)이냐를 놓고 유치한 다툼이나 벌인 결과 아닌가.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2주 전보다 1%포인트 상승한 42%로 집계됐다. 졸속 정책 논란을 빚은 10·15 부동산 대책,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둘러싼 외압 의혹 등 정부·여당에 불리한 악재가 차고 넘친 점을 고려하면 참으로 뜻밖이다. 얼핏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을 응원하는 이들의 단일 대오가 여전히 강하기 때문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정치 평론가들 사이에선 ‘여당이 미워도 야당은 더 싫다’는 유권자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란 분석이 제기된다. 오죽하면 이 대통령이 ‘야당 복’은 타고났다는 말까지 나오겠는가.
민주당보다 의석수가 적은 국민의힘이 원내 표 대결에서 밀리는 것은 당연하다. 그럴수록 정부·여당을 압도하는 정책 대안을 내놓으며 국민 앞에 비전과 경쟁력을 입증해야 할 텐데, 지금의 국민의힘은 그저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하는 것처럼 보인다. 내년도 예산안의 국회 제출에 즈음한 이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보이콧한 행태가 대표적이다. 앞선 국정감사 때에는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증인 채택 및 출석에만 힘을 쏟느라 정작 중요한 정책 검증은 놓쳤다. ‘역대 최악의 국감’이란 평가를 들은 데에는 야당 책임이 크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최근 “우리가 황교안”이라고 외쳤다. 내란 특별검사팀이 황 전 총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을 비판하는 취지라곤 하지만 동의하기 힘든 발언이다. 비록 영장은 기각됐으나 황 전 총리가 부정선거 음모론을 퍼뜨리고 비상계엄을 옹호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아직도 불법 계엄을 주도한 윤 전 대통령과 손절하지 못하고 있으니 누가 국민의힘을 수권 정당으로 인정하겠는가.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과 계엄 사태 등에 관한 명확한 입장 정리 없인 미래도 없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금융계급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70.jpg
)
![[특파원리포트] ‘일단’ 발등의 불 끈 한·미 동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64.jpg
)
![[이삼식칼럼] 인구절벽 극복을 위한 세 가지 선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55.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드론이 만든 21세기형 진지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47.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