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바이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바이오분야 아시아 허브인 싱가포르와 맞손을 잡는다.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과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은 13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덕특구 기업 등과 함께 싱가포르를 방문해 바이오기업의 해외진출 전략에 협력키로 했다.
싱가포르는 정부의 전략적 투자와 과학기술청(A*STAR) 중심의 연구개발(R&D) 체계, 대학·기업·정부 간 긴밀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아시아 최고 수준의 바이오 허브로 성장한 국가다. 완화된 규제를 활용한 신속한 제품 개발 환경 역시 특구 기업들의 신기술 실증과 해외 진출에 적합한 여건으로 평가된다. 대전시가 ‘글로벌 혁신특구’ 해외 거점으로 싱가포르를 택한 이유이다.
최 부시장은 독일의 다목적 제약회사 머크 싱가포르, 합성생물학 산·학·연 컨소시엄 시너지(SINERGY), 과학기술청 산하 식품생명공학 혁신연구소(SIFBI)를 방문해 협력을 요청했다.
머크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기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M-Lab 협업센터, CTS Lab 등을 둘러보며 합성생물학 공동연구와 공정기술 실증 가능성을 확인했다.
시너지와는 DNA 부품설계, 미생물 대사공학, 바이오파운드리 기반 연구부터 창업까지 이어지는 생태계 모델을 공유하는 한편 대전 글로벌 혁신특구 실증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혁신연구소에서는 배양육·발효단백질 등 차세대 식품 바이오 분야의 공동연구 및 기술실증 협력 가능성을 점검했다.
최 부시장은 “싱가포르는 연구개발에서 끝나지 않고 기술을 산업과 시장으로 연결하는 속도가 매우 빠른 도시로 연구기관과 기업, 정부가 긴밀히 연결된 바이오 생태계의 성공사례”라며 “대전이 보유한 연구개발 중심 역량에 싱가포르의 합성생물학 산업화·상용화 모델을 결합해 대전이 글로벌 바이오 혁신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우연 대전TP원장은 “앞으로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바이오 소재 공동연구, 국내외 식품안전 규제·인증 정보교류 등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뒷받침할 협력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12일부터 14일까지 싱가포르를 방문한 최 부시장은 전날엔 글로벌 방산·우주항공기업인 에어버스 그룹의 싱가포르 캠퍼스를 방문해 대전시와 에어버스의 우주항공 분야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공무원의 ‘복종 의무’ 삭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5/128/20251125518981.jpg
)
![[데스크의 눈] ‘AI 3강’, 백일몽 안 되려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5/128/20251125518976.jpg
)
![[오늘의 시선] 첨단산업 육성이지 금산분리 완화 아니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5/128/20251125518424.jpg
)
![[안보윤의어느날] 너무 많은 사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5/128/2025112551840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