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에 코스피가 하락한다’는 증시 속설은 최근 10년 통계상 근거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일 증시 변동성은 수능 자체가 아닌, ‘옵션 만기일’과 겹치는 현상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10년간 수능 당일 코스피 등락을 분석한 결과, 전일 대비 상승한 경우는 6번, 하락한 경우는 4번으로 집계됐다. 속설과는 달리 오히려 오른 횟수가 더 많았던 셈이다.
2015년(-0.20%), 2017년(-0.13%), 2021년(-0.51%), 2022년(-1.39%) 하락했고, 2016년(0.05%), 2018년(0.97%), 2019년(0.79%), 2020년(0.76%), 2023년(0.06%), 2024년(0.07%)에는 올랐다.
그럼에도 이러한 속설이 꾸준히 회자되는 것은 2006년에서 2015년 사이 과거 데이터 때문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2010년(1.62% 상승)을 제외한 모든 해의 수능일에 코스피가 하락했다.
수능일 코스피 변동의 원인으로 옵션 만기일이 지목되기도 한다.
이때는 선물과 현물의 가격 차를 이용한 프로그램 매매(차익 거래) 청산 물량이 나오며 장 막판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옵션 만기일은 매월 두 번째 목요일로 정해졌지만 1일이 시작하는 요일에 따라 11월 셋째 주인 수능일과 겹치는 경우가 생긴다. 올해 역시 수능일인 13일 역시 옵션 만기일과 겹친다.
한편 거래소는 13일 수능 당일 증권시장 정규시장은 오전 10시에 개장하고, 파생상품시장은 오전 9시45분에 문을 연다. 종료 시각 역시 1시간씩 순연된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역시 메인마켓 거래 시간을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20분으로 변경하고 프리마켓은 운영하지 않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방산 특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48.jpg
)
![[채희창칼럼] 정년 연장 법제화 무리해선 안 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36.jpg
)
![[기자가만난세상] 청년기본소득 명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62.jpg
)
![[기고] 정비사업 신속 추진, 자치구 권한 이양이 답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25.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