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생으로 전라도 광주 출신인 한민관은 많은 이들이 개그맨으로 방송계에 입문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첫 시작은 배우였다. 그는 초등학교 6학년 시절, 광주의 모 극단에 입단해 연기를 시작했으며 이후 10여년을 연극 무대에서 활동했다. 그러던 1995년 SBS 드라마 ‘모래시계’에 출연하며 처음으로 방송에 얼굴을 비췄다. 2005년 서울로 상경한 그는 대학로의 한 극장에서 코미디를 익혀 2006년 KBS 21기 공채 개그맨으로 전격 데뷔했다.
‘개그콘서트’를 통해 인기를 구가하던 그는 어느 순간 출연 빈도가 낮아지더니 조용히 자취를 감췄다. 그러던 2008년 돌연 카레이서로 전향을 선언하며 사실상 연예계를 은퇴하고 프로 카레이서로 활동을 시작했다. 첫발은 SNBC팀 소속 아마추어 카레이서였으나 현재는 브랜뉴 레이싱 소속의 프로 카레이서로 18년 차 베테랑이 됐다.
그는 총 66회의 레이스에 출전하며 7회에 빛나는 레이싱 우승과 1회의 챔피언까지 거머쥐며 카레이서로서 입지를 굳혔다. 성적 또한 늘 상위권을 유지하며 한국 대표 레이서로 레이싱의 역사를 써 내려갔다. 한민관은 카레이서로의 성공에 대해 “연예인이 와서는 또 놀다 가겠구나”라는 시선에 더 열심히 했다”라고 밝혔다.
한민관은 레이싱뿐만 아니라 영상 제작사 대표로 투잡을 뛰기도 했다. 그는 2022년 6월 19일 방송된 TV조선 ‘스타다큐 마이웨이’를 통해 사무실을 공개했다. 당시 한민관은 기업 홍보영상, 대학 강의 영상 등 다양한 영상을 제작하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처음엔 수중 콘텐츠를 찍고 싶어서 회사를 차렸으나 코로나로 인해 영상 제작업에 뛰어들게 됐다면서 제2의 활로를 꾸준히 개척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3년 뒤인 2025년, 한민관은 이름만 대면 알만한 유명 햄버거집 사장으로 또 한 번 성공한 근황을 전했다. 그는 3월 25일 방송된 KBS2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를 통해 신촌에서 대박 햄버거집을 운영 중인 사실을 알리며 월 매출이 1억원 정도라고 고백했다. 더불어 하루에 200건 정도가 팔린다고 밝혀 놀라움을 안겼다.
한민관은 대박 가게로 성공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에는 이미 햄버거 프랜차이즈로 자리 잡은 곳들이 많아서 다른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골자는 가격 경쟁에서 밀리지 말자는 거였다. 1년 365일 햄버거를 한 개 사면 하나 더 드린다”라며 ‘유통과 마진’에 대한 해결책을 찾은 것을 사업 비결로 꼽았다.
연예인과 사업의 수입 차이에 대한 질문에 한민관은 “돈을 버는 건 방송 일이 더 편한 것 같다”라고 솔직하게 고백했다. 끊임없이 도전하며 노력을 통해 연이어 성공을 거두고 있는 그의 모습에 네티즌들은 축하와 함께 부러움을 표했다.
한편 ‘인생 2막’을 멋지게 펼치고 있는 한민관이 또다시 도전에 나섰다. 한민관은 지난 11월 5일 열린 티빙 오리지널 ‘슈퍼레이스 프리스타일’ 제작발표회에 모습을 드러냈다.
‘슈퍼레이스 프리스타일’은 대한민국 레이싱 TOP 10팀이 상금 1억원을 걸고 대결을 펼치는 국내 최초 카레이싱 예능 프로그램으로, 최정상급 드라이버와 연예인 매니저가 1 대 1로 팀을 꾸려 대결을 펼친다. 김동은·조진세, 김시우·승희, 김화랑·윤하정, 노동기·엄지윤, 박규승·데니안, 박시현·정혁, 이창욱·윤보민, 최광빈·곽범, 한민관·경수진, 황진우·유이가 팀을 이뤘다.
한민관과 한 팀인 배우 경수진은 “처음엔 둘이 잘 맞지 않았다”면서 “저는 낯을 가리는 편인데 상대의 에너지가 너무 높아서 감당하기 힘들었다”라고 털어놨다. 경수진은 이어 “그런데 레이싱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니 제가 알고 있는 개그맨 한민관이 아니었다. 집중하는 눈빛에 매료됐다. 18년차 베테랑 레이서다웠다. 진중하고 열정적인 모습은 배워야겠다고 느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11월 7일부터 티빙과 웨이브를 통해 만날 수 있다. 한민관이 또 어떤 색다른 모습을 선보일지 기대가 크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